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정와[井蛙] ~ 정운시[停雲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19  
♞정와[井蛙] 우물 안 개구리의 뜻으로 역시 견문이 좁아 세상 형편을 모름을 뜻한다. 후한서(後漢書) 제24권 마원전(馬援傳)에 “하직하고 돌아감을 인해서 효(囂)에게 말하기를, ‘자양(子陽)은 우물 안 개구리일 뿐으로, 스스로 망녕되이 자존(自尊)하였다.’ 하였는데, 그 주(注)에, 말하자면 뜻과 식견이 편협해서 우물 속의 개구리와 같다는 것이다.” 하였다.
♞정완[訂頑] 장횡거(張橫渠)가 지은 서명(西銘)의 본명이다.
♞정완유[鄭緩儒] 장자(莊子) 열어구(列御寇)에 “정(鄭) 나라 사람 완(緩)이 구씨(裘氏) 땅에서 열심히 학문을 닦더니 3년 뒤에 유자(儒者)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정요[政要] 정관정요(貞觀政要)의 약칭으로 당 나라 오긍(吳兢)이 저술한 것인데, 당시의 법제 정령(政令)과 사적을 기록하였다.
♞정우곡[鄭愚谷] 우곡은 정이오(鄭以吾)의 호이다.
♞정운[鄭運] 정운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李舜臣)의 휘하에서 큰 공을 세우다가 부산포(釜山浦) 해전(海戰)에서 선봉으로 싸우던 중 전사하였다.
♞정운[停雲] 친구를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진(晉) 나라 도연명(陶淵明)의 정운시(停雲詩)에 “정운은 뭉게뭉게 떠오르고 시우는 자욱이 내리도다[停雲藹藹 時雨濛濛]”하였고 그 서(序)’에 “정운(停雲)은 친우를 생각해서 지은 시이다.” 하였고, 두보(杜甫)의 시(詩) 몽이백(夢李白)에 “落月滿屋梁 猶疑照顔色”이라 하였다.
♞정운[停雲] 친한 벗을 생각한 시(詩)를 일컫는다. 도연명(陶淵明)의 시 가운데 친우(親友)를 생각하며 지은 정운시(停雲詩) 4수가 있는데 그 시에 “머물러 있는 뭉게구름 때맞춘 보슬비 먼 곳 친구 생각하며 서성댄다.[藹藹停雲 濠濠時雨 良明悠邈 搔首延佇]”하였고, 자서(自序)에 “정운은 친구를 생각하는 시이다.”라고 한 것에서 나온 것으로, 정겨운 벗을 그리워할 때 인용된다.
♞정운시[停雲詩] 도연명(陶淵明)의 정운시(停雲詩)에 “靄靄停雲 濛濛時雨”라는 구절이 있는데, 자서(自序)에서 “이는 친우(親友)를 생각하며 지은 것이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085
5272 신화[薪火] ~ 신후수위부귀진[身後誰爲富貴眞] 5081
5271 패택[沛澤] ~ 패합[捭闔] 5075
5270 좌정관천[坐井觀天] ~ 좌태충[左太冲] 5071
5269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5070
5268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065
5267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5060
5266 포뢰[蒲牢] ~ 포륜[蒲輪] 5052
5265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5049
5264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5047
5263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5047
5262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504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