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산운우[巫山雲雨] ~ 무산지몽[巫山之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00  
♞무산운우[巫山雲雨] 초 회왕(楚懷王)의 고사. 고당부주(高唐賦注)에 “시집가기 전에 죽은 적제(赤帝)의 딸 요희(姚姬)를 무산 남쪽에 매장한 때문에 무산의 계집이라 전해 왔다. 회왕이 그곳에 출유(出遊)하여 낮잠을 자는데 꿈속에 한 신녀(神女)가 나타나, 무산의 계집이라 자칭했다. 드디어 그녀와 교합(交合)하고는 그곳에 관(觀)을 짓고 이름을 조운(朝雲)이라 했다.”하였다.
♞무산음금수[巫山吟錦樹] 두보(杜甫)의 부수시(復愁詩) 십이 수(十二首) 가운데 제일수(第一首)에 “인가의 연기는 궁벽한 곳에서 나오고 범의 자취는 새 발자국이 보이네[人煙生處僻 虎跡過新蹄]”하였고, 제십수(第十首)에 “무산엔 아직 아름다운 나무가 있고 남국엔 또 누런 꾀꼬리로다[巫山猶錦樹 南國且黃鸝]”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集 卷二十>
♞무산일단운[巫山一段雲] 사조(詞調) 또는 악부(樂部)의 이름이다. 본문의 시체(詩體)가 ‘무산일단운’의 체로 지은 것이라는 뜻이다.
♞무산지몽[巫山之夢] 무산(巫山)의 꿈이란 뜻으로, 남녀간의 밀회(密會)나 정교(情交)를 일컫는다. 특히 미인과의 침석(枕席)을 말하기도 한다. <陽臺, 陽臺不歸之雲>
 
 



번호 제     목 조회
161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추래[一椎來] ~ 일출처천자[日出處天子] 5325
160 증제[烝祭] ~ 증창승부[憎蒼蠅賦] ~ 증처회유[贈處回由] 5328
159 목난[木難] ~ 목덕[木德] 5330
158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5336
157 신화[薪火] ~ 신후수위부귀진[身後誰爲富貴眞] 5337
156 가담공견멱소중[賈耽空遣覓巢中] ~ 가대인[家大人] 5341
155 지자불언언자부지[知者不言言者不知] ~ 지장기마[知章騎馬] 5342
154 주남[周南] ~ 주남태사공[周南太史公] 5342
153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5353
152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5358
151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362
150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363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