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좌은[坐隱] ~ 좌접래의채[座接萊衣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40  
♞좌은[坐隱] 바둑을 좌은(坐隱)이라 하는데, 그것은 앉아서 세상일을 잊는다는 뜻이다.
♞좌임[左衽] ‘임’은 옷깃이다. 고대 중국의 어떤 소수민족의 복장은 앞깃이 왼쪽으로 덮였는데, 중원일대의 백성들이 우임(右衽)하던 것과는 다르다. 당시 중원지역의 사람들이 좌임으로 이족의 통치를 받는 대칭(代稱)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좌임[左袵]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것으로, 오랑캐의 풍속을 말한다.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관중(管仲)이 아니었으며 나는 머리를 풀어 헤치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게 되었을 것이다.” 하였다.
♞좌전[左傳] 좌전은 편년체 사서이다. 전하기로는 노나라 사관 좌구명(左丘明)이 지은 것이라 하는데, 또한 어떤 이는 전국초 혹은 약간 후대 사람이 편찬한 것이라고도 한다. 서한 사람들은 이를 좌씨춘추(左氏春秋)라 했고, 동한의 반고는 좌씨춘추전(左氏春秋傳)이라 했으며, 후대 사람들은 좌전(左傳)이라 일컬었다.
♞좌접래의채[座接萊衣彩] 어버이를 위한 수연(壽宴)이 벌어진 것을 가리킨다.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은사(隱士)인 노래자(老萊子)가 70의 나이에도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하여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떨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初學記 卷17 引 孝子傳>
 
 



번호 제     목 조회
725 풍계공[楓溪公] ~ 풍근[風斤] 4648
724 접역[鰈域] ~ 접화[蝶化] 4649
723 여인[黎人] ~ 여인행[麗人行] ~ 여자청[女子靑] 4652
722 태충[太冲] ~ 태평연월[太平烟月] 4653
721 강비[江妃] ~ 강비주우당[糠粃鑄虞唐] 4655
720 부초[夫椒] ~ 부판[蝜蝂] ~ 부평초[浮萍草] 4655
719 조영인[趙永仁] ~ 조오[釣鰲] 4661
718 강근지친[强近之親] ~ 강남역사[江南驛使] 4661
717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 ~ 고삽[苦澁] 4663
716 취가오물[醉歌傲物] ~ 취거[觜距] 4664
715 건위[蹇衛] ~ 건유위부노[褰帷慰父老] 4664
714 계돈사[雞豚社] ~ 계로여금각희문[季路如今卻喜聞] 4666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