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좌은[坐隱] ~ 좌접래의채[座接萊衣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24  
♞좌은[坐隱] 바둑을 좌은(坐隱)이라 하는데, 그것은 앉아서 세상일을 잊는다는 뜻이다.
♞좌임[左衽] ‘임’은 옷깃이다. 고대 중국의 어떤 소수민족의 복장은 앞깃이 왼쪽으로 덮였는데, 중원일대의 백성들이 우임(右衽)하던 것과는 다르다. 당시 중원지역의 사람들이 좌임으로 이족의 통치를 받는 대칭(代稱)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좌임[左袵]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것으로, 오랑캐의 풍속을 말한다.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관중(管仲)이 아니었으며 나는 머리를 풀어 헤치고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게 되었을 것이다.” 하였다.
♞좌전[左傳] 좌전은 편년체 사서이다. 전하기로는 노나라 사관 좌구명(左丘明)이 지은 것이라 하는데, 또한 어떤 이는 전국초 혹은 약간 후대 사람이 편찬한 것이라고도 한다. 서한 사람들은 이를 좌씨춘추(左氏春秋)라 했고, 동한의 반고는 좌씨춘추전(左氏春秋傳)이라 했으며, 후대 사람들은 좌전(左傳)이라 일컬었다.
♞좌접래의채[座接萊衣彩] 어버이를 위한 수연(壽宴)이 벌어진 것을 가리킨다.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은사(隱士)인 노래자(老萊子)가 70의 나이에도 부모님을 기쁘게 해 드리기 위하여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떨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初學記 卷17 引 孝子傳>
 
 



번호 제     목 조회
4853 포객[逋客] ~ 포계[匏繫] 4872
4852 기오[寄傲] ~ 기옹[綺翁] 4869
4851 협객행[俠客行] ~ 협비선[挾飛仙] 4867
4850 가타[伽陀] ~ 가풍[家風] 4865
4849 희씨[姬氏] ~ 희양[餼羊] 4865
4848 격안[隔案] ~ 격양가[擊壤歌] 4864
4847 개이부달[開而不達] ~ 개자추[介子推] ~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4858
4846 과라[蜾蠃] ~ 과물탄개[過勿憚改] 4858
4845 계해반정[癸亥反正] ~ 계활[契濶] 4854
4844 충비[蟲臂] ~ 충신행만맥[忠信行蠻貊] 4853
4843 패궐[貝闕] ~ 패금투시호[貝錦投豺虎] 4853
4842 각원[覺苑] ~ 각인각색[各人各色] 485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