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추자[鶖子] ~ 추자취율[鄒子吹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02  
♞추자[鶖子] 석가(釋迦)의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사리불(舍利弗)의 음역(音譯)으로, 전하여 승려(僧侶)를 의미한다.
♞추자서[鄒子書] 참소 당한 억울함을 임금에게 호소를 하기도 했다는 말이다. 추자(鄒子)는 한(漢) 나라 추양(鄒陽)으로, 양 효왕(梁孝王)의 문객(門客)이 되었다가 양승(羊勝) 등의 모함을 받고 하옥되었는데, 옥중에서 상서를 하여 마침내 상객(上客)의 대우를 받게 되었다. <史記 卷83>
♞추자예거[鄒子曳裾] 추자는 한 나라 때 유세객(遊說客)인 추양(鄒陽)을 가리키며, 예거(曳裾)는 ‘긴 옷자락을 늘어뜨린다[曳長裾]’의 준말로, 즉 왕후의 문에 출입한다는 뜻이다. 추양이 오(吳)에 벼슬할 적에 오왕(吳王)이 음모(陰謀)를 꾸미자 글을 올려 간하기를 “지금 신(臣)이 만일 간교한 마음을 다한다면 어느 왕후의 문엔들 긴 옷자락 늘어뜨리지 못하겠습니까.” 하였다. <漢書 卷五十一 鄒陽傳>
♞추자예거[鄒子曳裾] 추자는 한 나라 추양(鄒陽). 그는 오(吳) 나라 양효왕(梁孝王)의 상객(上客)이 되어 말하되 “어느 왕의 문에서 긴 옷자락을 끌지 못하랴.” 했다. 왕후(王侯)의 문객(門客)을 말한 것이다.
♞추자율[鄒子律] 추자는 전국 시대 제(齊) 나라 추연(鄒衍)을 가리키는데, 북방(北方)의 땅이 차가워서 오곡이 자라지 못하므로, 추연이 피리를 불어 기후를 따뜻하게 하자, 벼와 기장이 무럭무럭 자랐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列子 湯問>
♞추자취율[鄒子吹律] 전국 시대 제(齊) 나라의 추연(鄒衍)이 연(燕) 나라의 곡구(谷口)에 있을 때, 땅이 비옥하면서도 기후가 썰렁하여 농사가 안 되는 것을 보고, 양률(陽律)을 불어넣어 곡식을 자라게 했다는 전설이 있다. <太平御覽 卷54 注>
 
 



번호 제     목 조회
5321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384
5320 나부매[羅浮梅] ~ 나부산[羅浮山] ~ 나부춘몽[羅浮春夢] 5375
5319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5352
5318 왕자교[王子喬] ~ 왕자량[王子良] 5349
5317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5317
5316 자공[子貢] ~ 자공서[子公書] ~ 자과[炙輠] 5315
5315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301
5314 지도인시[至道因是] ~ 지독지애[舐犢之愛] ~ 지동지서[指東指西] 5276
5313 장하[丈下] ~ 장한[張翰] ~ 장한귀강동[張翰歸江東] 5275
5312 번오기[樊於期] ~ 번옹해사[樊翁解事] 5270
5311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5264
5310 지벽도무수하혜[地僻都無樹下蹊]~ 지보족[智輔族] ~ 지사불망재구학[志士不忘在溝壑] 5262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