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추형[秋螢] ~ 추획사[錐劃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12  
♞추형[秋螢] 두보(杜甫)가 장안(長安)을 떠나 봉선현(奉先縣)의 역소(投所)에 우거(寓居)할 때 지은 ‘교릉시 삼십운(橋陵詩三十韻)’을 말한다. 그 시의 마지막 부분에 “늙은 말 같은 내 신세를 현령께서 동정하여, 반딧불 잡아 글 읽는 독서인에게 역소의 한 건물을 빌려 주셨네.[主人念老馬 廨署容秋螢]”라는 구절이 나온다. <杜少陵詩集 卷3>
♞추형모설[秋螢暮雪] 진(晉) 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빛으로 책을 읽고, 역시 진 나라의 손강(孫康)이 눈[雪] 빛으로 등잔불을 대신해 책을 읽었다는 ‘형창설안(螢窓雪案)’의 고사가 전해 온다. <晉書 車胤傳·蒙求 中 孫康映雪>
♞추혜서[追惠署] 연산군 때 궁인들의 상장관곽(喪葬棺槨) 및 예장(禮葬)에 대한 사무를 맡은 곳을 말한다.
♞추호[秋毫] 가을철의 가늘어진 짐승의 털. 썩 적음.
♞추호부[秋胡婦] 추호는 춘추시대 노(魯) 나라 사람인데, 그의 아내가 시집온 지 5일 만에 그는 진(陳)에 부임하였다. 그로부터 5년 뒤에야 돌아오다가 길가에서 뽕 따는 부인을 보고 좋아하여 금(金)을 주자, 그 부인은 돌아보지도 않고 가버렸는데, 추호가 자기 집에 와서 보니 아까 그 부인이 바로 자기 아내였었다. 그러자 그 부인은 남편의 불효(不孝)와 불의(不義)를 꾸짖고 강물에 투신자살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추화[推火] 밀양(密陽)의 고호이다.
♞추환[芻豢] 풀을 먹는 우양(牛羊)과 곡식을 먹는 견시(犬豕)를 가리키는 말로, 감미로운 음식을 뜻한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의리(義理)가 나의 마음에 좋기가 추환(芻豢)이 나의 입에 좋은 것과 같다.” 하였다.
♞추획사[錐劃沙] 붓을 들어 글씨를 쓸 때 송곳으로 모래를 긋는 것과 같이 한다는 것으로 필법의 정묘함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185 귀인[龜印] ~ 귀장역[歸藏易] ~ 귀전부[歸田賦] 5306
184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 팽택휴관거[彭澤休官去] 5307
183 포뢰[蒲牢] ~ 포륜[蒲輪] 5310
182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5311
181 상혼침침[湘魂沈沈] ~ 상홍양[桑弘羊] 5314
180 자한[子罕] ~ 자항[慈航] 5314
179 순순[沌沌] ~ 순씨[荀氏] 5314
178 저광희[儲光羲] ~ 저도[楮島] 5315
177 좌고우면[左顧右眄] ~ 좌대신[坐待晨] 5318
176 잠저[潛邸] ~ 잠홀[簪笏] 5319
175 범존초망[凡存楚亡] ~ 범중엄[范仲淹] 5320
174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5320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