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춘년[椿年] ~ 춘대[春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37  
♞춘년[椿年] 춘수(椿壽)와 같은 뜻으로 곧 오래 삶을 말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상고 때 대춘(大椿)이 있었는데, 8천 년으로 한 봄을 삼고 8천 년으로 한 가을을 삼는다.” 하였다.
♞춘년어혜고[椿年語蟪蛄] 장자(莊子)소요유(逍遙遊)에 “쓰르라미는 여름 한철에만 생겨났다가 없어지기 때문에 봄과 가을을 모르는데 저 8천 년이나 오래 묵은 춘나무를 어찌 알겠느냐.” 했는데, 얕은 식견으로는 깊은 도량을 모른다는 비유이다.
♞춘니홍착개[春泥鴻着介] 기러기가 앉았던 진흙에 남은 발자국은 곧 없어진다는 뜻이다.
♞춘당[椿堂]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컫는다.
♞춘당[春塘] 창경궁(昌慶宮) 안에 있는 대(臺)를 이름. 왕실에 경사가 있을 때 임금이 이곳에 나아가 임시로 문무과(文武科)의 시험을 보이던 곳이다. 춘당대시(春塘臺試).
♞춘당초[春塘草] 남조(南朝) 송(宋)의 사영운(謝靈運)이 평소에 족제(族弟) 사혜련(謝惠連)을 마주 대하면 좋은 시가 지어졌는데, 언젠가 영가현(永嘉縣)의 못가에서 시를 지으려고 해도 하루종일 시상(詩想)이 떠오르지 않다가 갑자기 꿈속에서 혜련을 보고 ‘못가에는 봄풀이 돋아나누나[池塘生春草].’라는 시귀를 지었다고 한다. <宋書 卷五十三 謝惠連傳>
♞춘대[春臺] 날씨가 좋은 봄날에 올라가서 좋은 경치를 바라다보는 곳으로, 태평성대를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89 일몽읍경괴[一夢泣瓊瑰] ~ 일묵도망진일언[一黙都忘盡日言] ~ 일민[逸民] 5017
388 육적[六籍]/육적회귤[陸績懷橘]/육전서[六典書] 5018
387 간뇌도지[肝腦塗地] ~ 간담초월[肝膽楚越] 5022
386 계구[鷄狗] ~ 계궁역진[計窮力盡] 5024
385 팔진[八珍] ~ 팔체서[八體書] 5027
384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독서삼도[讀書三到] ~ 독서상우[讀書常友] 5029
383 허약허[許若虛] ~ 허유기표[許由棄瓢] 5031
382 가부곤강관[賈傅困絳灌] ~ 가부장제[家父長制] 5033
381 결말[結襪] ~ 결발부부[結髮夫婦] 5034
380 동타[銅駝] ~ 동타형극[銅駝荊棘] 5035
379 주미[麈尾] ~ 주방[肘方] ~ 주보언[主父偃] 5035
378 종남엄로[終南儼老] ~ 종두득두[種豆得豆] 5036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