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춘반[春盤] ~ 춘부장[椿[春]府丈]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660  
♞춘반[春盤] 입춘일(立春日)에 춘병(春餠)과 생채(生菜)를 만들어 먹는 것을 말한다.
♞춘방[春坊]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동궁(東宮) 즉 세자궁(世子宮)을 가리킨다.
♞춘방[春坊] 태자(太子)의 궁전인 춘궁(春宮)을 달리 일컫는 말이다.
♞춘번[春幡] 봄이 왔음을 뜻하는 깃발. 입춘일에 문앞에 세워 봄이 돌아온 상징으로 삼았다.
♞춘번[春幡] 춘번이란 금(金)·은(銀)·나(羅)·채(綵) 등으로 만든 꾸미개, 즉 번승(旛勝)을 이른다. 옛날 입춘일(立春日)이면 이것을 백관(百官)들에게 나누어주어서 이를 복두(幞頭) 위에 달고 입조(入朝)하여 하례를 올리게 하였는데, 하례를 마치고 나서는 각각 이를 복두 위에 단 채로 귀가(歸家)했다고 한다.
♞춘복성[春服成] “봄 3월에 봄 옷이 이미 되었거든 관자 5, 6명과 동자 6, 7명과 기수에 목욕하고 무우에 바람 쏘이고, 읊으며 돌아오리이다.” 증점(曾點)이 공자 앞에서 뜻을 말한 말이다. <論語>
♞춘복초성려경지[春服初成麗景遲] 공자가 제자들에게 각자의 뜻을 말하라 하였더니 다른 제자들은 모두 정치에 뜻을 두었으나, 증점(曾點)만은 “늦은 봄, 봄옷이 만들어지면 관을 쓴 어른 5~6명과 동자 6~7명과 함께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며 시를 읊고 돌아오겠습니다.” 하니 공자는 외물(外物)에 구하지 않는 그의 높은 뜻을 허여하였다 한다.
♞춘부장[椿[春]府丈]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컫는다.
 
 



번호 제     목 조회
5333 맹분[孟賁] 6923
5332 진단[陳摶] ~ 진대[秦臺] ~ 진락[眞樂] 6905
5331 청허휴정[淸虛休靜] 6881
5330 견금여석[見金如石] ~ 견리사의[見利思義] 6874
5329 증계리[曾季貍] ~ 증균[蒸菌] ~ 증리생진[甑裏生塵] 6726
5328 중후관[中侯官] ~ 즉묵성외소미우[卽墨城外燒尾牛] ~ 즐풍목우[櫛風沐雨] 6636
5327 중달[仲達] ~ 중당[中唐] ~ 중동[重瞳] ~ 중랑녀[中郞女] 6601
5326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6597
5325 가기[佳氣] ~ 가기의방[可欺宜方] ~ 가농성진[假弄成眞] 6539
5324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 거황[居肓] 6507
5323 지난이퇴[知難而退] ~ 지당대신[至當大臣] ~ 지당춘초구[池塘春草句] 6410
5322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640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