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춘빙루화[春氷鏤花] ~ 춘수훤화[椿樹萱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68  
♞춘빙루화[春氷鏤花] 얼음에 꽃을 아로새기면 이내 녹아 없어져버리듯이 가치를 남기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참고로 송 나라 황정견(黃庭堅)의 송왕랑(送王郞)이란 시에 “모래를 쪄서 미음을 지음에 끝내 배부르지 않고, 얼음에 문자를 아로새기면 헛되이 공교로울 뿐이라네.[炊沙作糜終不飽 鏤氷文字費工巧]”하였다.
♞춘사[春社] 입춘(立春)이 지난 뒤 5일째 되는 무일(戊日)에 풍년을 기원하여 토지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춘성[春城] 덕원(德源)의 옛 이름이다. 목조(穆祖), 익조(翼祖), 도조(度祖), 환조(桓祖)의 어향(御鄕)으로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된 곳이다.
♞춘수하채무[椿樹下彩舞] 부모를 즐겁게 해드리기 위해 춤을 추는 것을 말한다. 참죽나무는 아버지를 가리킨다. 노래자(老萊子)라는 사람이 나이 70세에 부모가 아직 살아 있었으므로 항상 꼬까옷을 입고 어린아이 시늉을 해 부모의 마음을 즐겁게 하였다. <北堂書鈔 卷129>
♞춘수훤화[椿樹萱花] 춘나무와 원추리꽃. 춘나무는 부친을 비유하고 원추리는 모친을 비유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41 계해반정[癸亥反正] ~ 계활[契濶] 4840
4840 장산[章山] ~ 장상군[長桑君] 4839
4839 패궐[貝闕] ~ 패금투시호[貝錦投豺虎] 4839
4838 강교노과다[講郊魯過多] ~ 강궐청도[絳闕淸都] 4838
4837 거일명삼[擧一明三] ~ 거재두량[車載斗量] 4838
4836 오봉[梧鳳] ~ 오봉루[五鳳樓] ~ 오부[五部] 4838
4835 습[襲] ~ 습가촌풍류[習家村風流] 4834
4834 회우[回愚] ~ 회음표모[淮陰漂母] 4834
4833 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 ~ 가생[賈生] 4832
4832 감공[甘公] ~ 감군은[感君恩] 4832
4831 각원[覺苑] ~ 각인각색[各人各色] 4831
4830 백타[白墮] ~ 백토공[白兎公] 4831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