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속서[俗書] ~ 속수일편[涑水一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96  
♞속서[俗書] 왕희지(王羲之) 글씨체를 말한 것이다. 한유(韓愈)의 석고가(石皷歌) 중에 “왕희지는 속된 글씨로 모양만 부렸지만, 그래도 그 몇 장으로 흰거위와 바꿨다네.[羲之俗書逞姿媚 數紙尙可博白鵝]”하였다.
♞속서덕협금[屬西德叶金] 오행법(五行法)으로 서쪽은 금(金)에 해당하는데 남산은 중국의 서쪽에 있기 때문에 한 말이다.
♞속성[屬城] 민중군(閩中郡)에 속한 현성(縣城).
♞속소[束素] 한 묶음의 깁이란 뜻으로, 여자의 가느다란 허리[細腰]를 형용하는 말이다. 선화유사(宣和遺事)에 “한 묶음 깁인 양 가냘픈 허리는 꼭 한 줌이다.[束素纖腰恰一搦]”라는 시구가 있다.
♞속수[涑水] 산서성(山西省) 하현(夏縣) 속수향(涑水鄕) 출신인 송 나라 사마광(司馬光)의 별칭으로, 보통 속수옹(涑水翁)이라고 한다.
♞속수[束脩] 속수는 열 마리의 포(脯)로 지극히 박한 예물(禮物). 옛날에는 스승을 찾아뵈려면 반드시 예물을 갖고 갔다. 이 때문에 공자는 “속수 이상의 예물을 가지고 오는 자에게는 내 한 번도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다.” 하였다. <論語 述而>
♞속수무책[束手無策] 손을 묶어 놓아 방책(方策)이 없다는 데서, 손을 묶은 듯이 꼼짝 할 수 없음을 말한다.
♞속수일편[涑水一篇] 속수는 송(宋) 나라 때의 사마광(司馬光)의 별호. 한 편의 글이란 곧 사마광이 찬한 가례(家禮)를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01 일벌백계[一罰百戒]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 일부이미[一稃二米] 4905
4900 자사[紫絲] ~ 자산수[子山愁] ~ 자산출천[刺山出泉] 4905
4899 오불관언[吾不關焉] ~ 오비삼척[吾鼻三尺] ~ 오비토주[烏飛兎走] 4903
4898 이로[李老] ~ 이루[離婁] 4901
4897 예상[霓裳] ~ 예상우의[霓裳羽衣] ~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 4901
4896 단단[團團] ~ 단대[丹臺] 4900
4895 계명구폐[鷄鳴狗吠] ~ 계모행료[溪毛行潦] 4900
4894 별재위체[別裁僞體] ~ 별천지[別天地] 4899
4893 회문[回文] ~ 회문시[廻文詩] 4897
4892 이곽선[李郭仙] ~ 이관규천[以管窺天] ~ 이관조몽시[移官早夢尸] 4895
4891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4895
4890 일휘[一麾] ~ 일휘출수[一麾出守] 489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