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번상[樊上] ~ 번소[樊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59  
♞번상[樊上] 지금의 서울 번동(樊洞)인데 권돈인(權敦仁)의 별장이다.
♞번상[飜觴] 추양(鄒陽)의 주부(酒賦)에, “술을 실컷 먹고 미쳐서 사발을 쏟고 잔을 뒤엎는다.”하였다.
♞번상격양림[繁商激楊林] 상성(商聲)은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로 음조가 굳세고 경쾌한 것으로서 사시(四時)로 말하면 가을에 해당하고, 양림(楊林)은 버들 숲으로서 봄에 해당하니, 즉 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뜻하는데, 전하여 사람도 젊은 시절이 다 지나가고 늙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번성[繁聲] 음조(音調)가 복잡한 음악을 이른 말이다.
♞번소[樊素] 중국 중당(中唐) 때의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시첩(侍妾)으로, 소만은 춤을 잘 추고 번소는 노래를 잘했었는데 백거이가 늙고 병들었을 때 빚에 의하여 부득이 번소를 놓아주게 되어 서로 이별을 매우 아쉬워했다 한다. 백거이의 작품에 “앵두 같은 번소의 입이요 버들 같은 소만의 허리로다.”라는 시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77 질전[疾顚] ~ 질지[郅支] ~ 질풍지경초[疾風知勁草] 5453
76 자서해검오강주[子胥解劍吳江舟] ~ 자설[刺舌] ~ 자성[子成] 5455
75 주협홀[拄頰笏] ~ 주호은악[周灝殷噩] ~ 주홀간서산[拄笏看西山] 5455
74 승고월하문[僧敲月下門] ~ 승납[僧臘] 5459
73 마외[馬嵬] ~ 마외혈오[馬嵬血汚] 5463
72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468
71 십일정민[什一征民] ~ 십주[十洲] 5468
70 장중울[張仲蔚] ~ 장지[張摯] ~ 장지화[張志和] 5471
69 덕기[德驥] ~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 ~ 덕성[德星] 5473
68 대연[大衍] ~ 대연수[大衍數] ~ 대연오십[大衍五十] 5501
67 지월[指月] ~ 지월양복생[至月陽復生] ~ 지음인[知音人] 5504
66 주홍구석[呪虹驅石] ~ 주화모록지[朱華冒綠池] ~ 주환용호[珠還龍戶] 5533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