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순거[鶉居] ~ 순경[順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40  
♞순거[鶉居] 주거(住居)가 일정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순(鶉)은 메추라기인데, 이 새는 항상 야거(野居)하여 일정한 곳이 없다.
♞순경[荀卿] 기원전 313년에 태어나서 238년에 죽은 전국시대 때 사상가이며 교육가이다. 통상적으로 순자(荀子)라 불리며 이름은 황(況)이다. 조나라 출신으로 나이 50이 넘어 학문을 배우기 위해 제나라에 갔다. 직하(稷下)에 모여있던 학자들은 순경을 장로로 존경했다. 후에 초나라로 가서 춘신군(春申君)에 의해 난능령(蘭陵令 : 지금의 산동성 창산현(蒼山縣)) 난릉진(蘭陵鎭))에 임명되었으나 후에 다시 주위 사람들의 참소를 받고 조나라로 돌아갔다. 조나라는 순경을 상경(上卿)으로 임명했으나 다시 초나라로 돌아가 난능령(蘭陵令)이 되어 그곳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생애를 마쳤다. 한나라의 한비자(韓非子)는 이사(李斯)와 함께 동문수학한 순경의 제자다. 순자는 춘추 이후의 각 학파를 모두 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집대성하였다. 그는 공자(孔子)와 맹자(孟子)의 설을 따라 왕도를 숭배하고 어진 사람을 뽑아 정치를 행하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순자의 학설은 공맹과 많은 차이가 있다. 공자는 인(仁)을 맹자는 인의(仁義)를 주창했으나 순자는 예(禮)가 인간 삶의 기본이라고 했으며, 맹자의 성선설에 반하여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했다. 그는 인간이란 ‘나면서부터 이득을 탐하고 (生而有好利)’ ‘나면서부터 인간의 눈과 귀는 욕망으로 채워져 있다(生而有耳目之欲)’이라고 했다. 그는 성악설에 근거하여 예(禮)와 법(法)에 의해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했으며 인간의 교화를 위해서는 후천적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저서 순자 권학편에 ‘푸른색은 쪽에서 얻어낸 것이지만 쪽보다 더 푸르고, 얼음은 물이 언 것이지만 물보다 더차다.[靑取之于藍, 而靑于藍; 氷, 水爲之, 而寒于水], 즉 청출어람(靑出於藍)’라고 했다. 이사(李斯)와 한비자(韓非子)는 동문수학한 순자의 제자들이다.
♞순경[順卿] 순경은 고려 때의 직신 이존오(李存吾)의 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37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4913
436 사해동포[四海同胞] ~ 사해형제[四海兄弟] 4914
435 종소[終宵] ~ 종수탁타전[種樹槖駝傳] 4914
434 주경[周京] ~ 주계군[朱溪君] 4914
433 고어[皐魚] ~ 고어지사[枯魚之肆] 4914
432 도온[道韞] ~ 도온고풍[道蘊高風] ~ 도외시[度外視] 4914
431 족기성명[足記姓名] ~ 존백[尊伯] 4918
430 피골상접[皮骨相接] ~ 피리춘추[皮裏春秋] 4919
429 순공오타운[郇公五朶雲] ~ 순금[舜琴] 4921
428 풍녕군[豐寧君] ~ 풍당[馮唐] 4925
427 쟁산[崢山] ~ 쟁신론[爭臣論] 4928
426 걸감호[乞鑑湖] ~ 걸골[乞骨] 4928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