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순거[鶉居] ~ 순경[順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81  
♞순거[鶉居] 주거(住居)가 일정하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순(鶉)은 메추라기인데, 이 새는 항상 야거(野居)하여 일정한 곳이 없다.
♞순경[荀卿] 기원전 313년에 태어나서 238년에 죽은 전국시대 때 사상가이며 교육가이다. 통상적으로 순자(荀子)라 불리며 이름은 황(況)이다. 조나라 출신으로 나이 50이 넘어 학문을 배우기 위해 제나라에 갔다. 직하(稷下)에 모여있던 학자들은 순경을 장로로 존경했다. 후에 초나라로 가서 춘신군(春申君)에 의해 난능령(蘭陵令 : 지금의 산동성 창산현(蒼山縣)) 난릉진(蘭陵鎭))에 임명되었으나 후에 다시 주위 사람들의 참소를 받고 조나라로 돌아갔다. 조나라는 순경을 상경(上卿)으로 임명했으나 다시 초나라로 돌아가 난능령(蘭陵令)이 되어 그곳에서 저술활동을 하며 생애를 마쳤다. 한나라의 한비자(韓非子)는 이사(李斯)와 함께 동문수학한 순경의 제자다. 순자는 춘추 이후의 각 학파를 모두 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집대성하였다. 그는 공자(孔子)와 맹자(孟子)의 설을 따라 왕도를 숭배하고 어진 사람을 뽑아 정치를 행하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순자의 학설은 공맹과 많은 차이가 있다. 공자는 인(仁)을 맹자는 인의(仁義)를 주창했으나 순자는 예(禮)가 인간 삶의 기본이라고 했으며, 맹자의 성선설에 반하여 성악설(性惡說)을 주장했다. 그는 인간이란 ‘나면서부터 이득을 탐하고 (生而有好利)’ ‘나면서부터 인간의 눈과 귀는 욕망으로 채워져 있다(生而有耳目之欲)’이라고 했다. 그는 성악설에 근거하여 예(禮)와 법(法)에 의해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했으며 인간의 교화를 위해서는 후천적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저서 순자 권학편에 ‘푸른색은 쪽에서 얻어낸 것이지만 쪽보다 더 푸르고, 얼음은 물이 언 것이지만 물보다 더차다.[靑取之于藍, 而靑于藍; 氷, 水爲之, 而寒于水], 즉 청출어람(靑出於藍)’라고 했다. 이사(李斯)와 한비자(韓非子)는 동문수학한 순자의 제자들이다.
♞순경[順卿] 순경은 고려 때의 직신 이존오(李存吾)의 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081 단사[丹砂] ~ 단사군[丹砂郡] 5227
5080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226
5079 진조여[陳趙予] ~ 진종욕도자응미[塵蹤欲到自應迷] ~ 진주삼장사[晉州三壯士] 5223
5078 풍운표도[風雲豹韜] ~ 풍월주인[風月主人] 5222
5077 중산[中山] ~ 중산방만낙양서[中山謗滿樂羊書] ~ 중산참방[中山讒謗] 5221
5076 십주삼도[十洲三島] ~ 십팔공[十八公] 5218
5075 각자도생[各自圖生] ~ 각자이위대장[各自以爲大將] 5217
5074 향안[香案] ~ 향원덕지적[鄕愿德之賊] 5216
5073 서자[西子] ~ 서자몽부결[西子蒙不潔] 5214
5072 장절염황백안희[仗節炎荒白鴈稀] ~ 장접[莊蝶] ~ 장정[長亭] 5214
5071 천도외신[天都外臣] ~ 천도휴영이익겸[天道虧盈而益謙] 5213
5070 자포자기[自暴自棄] ~ 자포파[紫袍把] ~ 자표지문[赭豹之文] 5213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