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범장소거[范張素車] ~ 범조[凡鳥]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56  
♞범장소거[范張素車] 소거는 흰 천을 씌운 수레이며, 범장(范張)은 후한(後漢) 때 사람인 범식(范式)과 장소(張劭)이다. 범식과 장소는 친하게 지냈는데, 장소가 죽어 장사 지낼 때 범식이 미처 도착하지 못하였다. 마침내 발인하여 폄관(窆棺)하게 되었는데, 상구가 움직이려 하지 않다가 범식이 도착하여 상여 끈을 잡고서 끌자, 이에 상구가 움직여서 장사 지낼 수가 있었다. <後漢書 卷81 獨行列傳 范式>
♞범조[凡鳥] 범조는 ‘새 봉[鳳]’자를 파자(破字)한 모양인데, 옛날 여안(呂安)이 친구 혜강(嵇康)을 찾아갔더니 그는 없고, 대신 그 형 혜희(嵇喜)가 반가이 나와 맞이하므로, 문 위에다 ‘봉(鳳)’자를 써 놓고 돌아갔다 한다. 봉이 아니라 범조, 곧 보통 새라는 뜻으로, 혜희를 폄하하는 말인데 친구 방문의 고사로 흔히 쓰인다.
♞범조[凡鳥] 봉(鳳) 자를 분해하면 범상한 새[凡鳥]가 된다. 세설신어(世說新語)에 “혜강(嵇康)이 여안(呂安)과 서로 친하여 언제나 생각만 나면 천리라도 달려가곤 했었다. 어느 때 여안이 혜강을 찾았으나 집에 있지 않고, 그의 형 희(喜)가 나와 맞이하자 들어가지 아니하고 대문 위에다 봉(鳳) 자를 써놓고 갔는데 희는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저 좋아했다.”하였다. [嵇康與呂安善, 每一相思, 千里命駕. 安後來, 値康不在, 喜出戶延之; 不入, 題門上作「鳳」字而去. 喜不覺, 猶以爲忻, 故作. 「鳳」字, 凡鳥也.] <世說新語>
 
 



번호 제     목 조회
269 가람[岢嵐] ~ 가랑선[賈浪仙] ~ 가련[可憐] 5165
268 갈건[葛巾] ~ 갈고최[羯鼓催] 5165
267 손동조율[孫桐祖栗] ~ 손랑장하아[孫郞帳下兒] 5171
266 향안[香案] ~ 향원덕지적[鄕愿德之賊] 5171
265 각자도생[各自圖生] ~ 각자이위대장[各自以爲大將] 5173
264 자진곡구[子眞谷口] ~ 자진귀[子晉歸] ~ 자천소오인[自薦笑吾人] 5176
263 십주삼도[十洲三島] ~ 십팔공[十八公] 5177
262 풍운표도[風雲豹韜] ~ 풍월주인[風月主人] 5183
261 취검[炊劒] ~ 취굴주[聚窟洲] 5184
260 임참여간괴[林慚與澗愧] ~ 임천랍극[臨川蠟屐] ~ 임천성탄[臨川聖歎] 5186
259 여불위[呂不韋] ~ 여붕우교이불신호[與朋友交而不信乎] 5187
258 장보[章甫] ~ 장부계[壯夫戒] 5189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