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잠리[簪履] ~ 잠삼욕[蠶三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11  
♞잠리[簪履] 비녀와 가죽신. 즉 높은 벼슬아치들의 예복(禮服) 차림을 뜻하는데, 비녀란 곧 관(冠)에 꽂는 것이다.
♞잠마[蠶馬] 고신씨(高辛氏) 때 어떤 사람이 이웃 나라에 납치되어 가고 그가 타던 말만 남아 있자 그의 아내가 “우리 남편을 찾아오는 사람에게는 내 딸을 시집보내겠다.” 하니, 그 말이 벌떡 일어나 나갔다가 수일 만에 주인을 찾아 태워가지고 들어왔다. 그런데 그 뒤부터는 말이 아무것도 먹지 않고 트집을 부리므로 남편이 그 사실을 물으니, 부인이 남편을 찾기 위해 맹세한 사실을 말하자 그는 당장 말을 쏘아 죽여서 가죽을 벗겨 뜰에 널어놓았는데, 그의 딸이 그 옆을 지나자 말가죽이 갑자기 일어나서 그 처녀를 싸가지고 뽕나무 위로 올라갔다. 이래서 그 처녀가 누에로 화(化)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原化傳拾遺>
♞잠모[岑牟] 군대의 고각사(鼓角士)들이 쓰던 모자이다.
♞잠미시[蠶尾詩] 청(淸) 나라 왕사정(王士禎)이 지은 잠미집(蠶尾集)의 시를 말한다. 잠미집 10권, 속집 2권, 후집 2권이 있다.
♞잠부론[潛夫論] 후한(後漢) 왕부(王符)가 지은 책 이름이다. 난세(亂世)를 만나 세속과 영합하지 않고 절개를 지키고 살면서 당시 정치와 사회에 대한 분개한 심정을 총 35편(篇)으로 나누어 펼친 고론(高論)이다.
♞잠삼[岑參] 잠삼은 당(唐) 나라 사람으로 두보(杜甫)와 함께 문장에 능하였다.
♞잠삼면[蠶三眠] 누에는 본디 네 잠을 자고나서는 섶에 올라가 집을 짓는 것이므로, 세 잠을 잤다는 것은 곧 반 평생이 이미 지났음을 비유한 말이다.
♞잠삼욕[蠶三浴] 누에가 멱감는다는 것은 누에의 종자를 처음 고를 때 소금물이나 들나물 꽃의 즙에 담궈 생명력이 강한 것만 골라내는 일종의 종자 고르는 방식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69 송귀봉작[宋龜逢灼] ~ 송대부[松大夫] 4800
568 건강[乾綱] ~ 건계[建溪] 4800
567 척령[鶺鴒] ~ 척령최령[鶺鴒摧翎] 4801
566 정포은[鄭圃隱] ~ 정현침[鄭玄針] 4803
565 평향정[萍鄕政] ~ 폐구계자[弊裘季子] 4803
564 허실광생백[虛室光生白] ~ 허심탄회[虛心坦懷] 4804
563 경호[鏡湖] ~ 경화원[瓊花院] 4804
562 불사[不死] ~ 불상위모[不相爲謀] 4805
561 소호[少昊] ~ 소홍사[小紅詞] 4807
560 축록[逐鹿] ~ 축리접위구[逐利接爲構] 4808
559 결신난윤[潔身亂倫] ~ 결의형제[結義兄弟] 4809
558 강고어[羌古魚] ~ 강굉피[姜肱被] 4811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