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경오훼[長勁烏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987  
♞장경오훼[長勁烏喙] 길다란 목에 까마귀 부리같이 뾰족한 입. 사람의 관상을 표현할 때 쓰는 말로 인물됨이 좁고 의심이 많아서 성취하고자 하는 일을 이루고 나면 협력자나 동지에게 등을 돌릴 인상을 일컫는 고사성어이다. 범려가 월왕(越王) 구천(句踐)을 평한 말로, 환난(患難)은 같이 할 수 있으나 안락은 같이 누릴 수 없는 인상(人相)을 이르는 말이다. 오왕(吳王) 합려가 월왕 구천에 의해 죽자, 그의 아들 부차(夫差)는 매일 장작더미 위에서 자면서(臥薪) 복수의 칼을 갈았다. 이것을 안 구천이 먼저 부차를 공격하였으나, 도리어 대패하고 사로잡혔다. 구천은 범려의 충고로 부차의 신하되기를 자청하였다. 부차의 신하가 된 구천은, 방의 서까래에다 돼지의 쓸개를 매달아 놓고 매일 핥았다(嘗膽). 십여 년이 지나, 마침내 구천은 오 나라를 쳐서 멸망시켰다. 이렇게 월이 오를 멸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은 범려였다. 그는 20여 년 동안 구천을 보필하면서, 마침내 그를 패자(覇者)로 만들었다. 그 공로로 범려는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 그러나 범려는 구천의 인물됨에 대해 꿰뚫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구천에게 작별을 고하고 제(齊) 나라로 갔다. 제 나라에서 그는 자신과 절친했던 월 나라의 대부(大夫) 종(種)에게 편지를 썼다. “나는 새가 다하면 좋은 활은 쓸모가 없고[鳥盡弓藏],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겨 죽으니[兎死狗烹], 적국(敵國)이 망하면 모사(謀士)가 죽는 법입니다. 게다가 구천의 상(相)은 목이 길고 입은 까마귀 주둥이[長勁烏喙]입니다. 이런 인물은 어려움은 함께 할 수 있으나 즐거움은 함께 누릴 수 없습니다. 빨리 구천을 떠나십시오.” 대부 종은 범려와 함께 오 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한 충신이었다. 구천은 얼마 뒤 종을 죽였다. <史記 越王句踐世家>
 
 



번호 제     목 조회
5345 마부위침[磨斧爲針]/마부작침[磨斧作針] 11610
5344 창랑[滄浪]/창랑곡[滄浪曲]/창량[蒼凉] 9489
5343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 태산불양토양[泰山不讓土壤] 9252
5342 가고가하[可高可下] ~ 가관동[葭管動] ~ 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7955
5341 각곡[刻鵠] ~ 각곡유목[刻鵠類鶩] 7654
5340 지벽도무수하혜[地僻都無樹下蹊]~ 지보족[智輔族] ~ 지사불망재구학[志士不忘在溝壑] 7515
5339 행유부득반구제기[行有不得反求諸己] ~ 행장[行裝] 7514
5338 낙모[落帽] ~ 낙모풍[落帽風] ~ 낙모풍류[落帽風流] 7340
5337 독견[獨見] ~ 독교낙아각[毒蛟落牙角] ~ 독대[獨對] 7330
5336 지도인시[至道因是] ~ 지독지애[舐犢之愛] ~ 지동지서[指東指西] 7131
5335 장경오훼[長勁烏喙] 6988
5334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6944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