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장산[章山] ~ 장상군[長桑君]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38  
♞장산[章山] 경산(慶山)의 고호(古號)이다.
♞장삼영[張三影] 송(宋)의 장선(張先)을 말한다. 그가 읊은 시구 중에, ‘영(影)’ 자가 든 시구 셋이 걸작이라 하여 사람들이 그를 삼영(三影)이라고 지목하였다. <通山淸話>
♞장삼이사[張三李四] 장씨(張氏)의 삼남(三男)과 이씨(李氏)의 사남(四男)이라는 뜻에서, 성명(姓名)이나 신분(身分)이 뚜렷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을 말한다. 갑남을녀(甲男乙女). 선남선녀(善男善女). 초동급부(樵童汲婦). 필부필부(匹夫匹婦).
♞장상[將相] 고려 시대 장군(將軍) 이하 별장(別將) 이상의 군관(軍官)을 일컫던 이름이다. 중랑장(中郞將), 낭장(郎將)이 포함되었다.
♞장상[張相] 당(唐)의 장열(張說)을 말한다. 일찍이 요숭(姚崇)과의 혐의가 있어 상주 자사(相州刺史)로 좌천되었다가 뒤에 중서령(中書令)이 되었다.
♞장상군[長桑君] 전국(戰國) 시대에 신인(神人)인 장상군이 편작(扁鵲)에게 약(藥)을 주면서 “이 약을 이슬에 타서 30일 동안 복용하면 귀물(鬼物)도 눈으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하므로 편작이 그의 말대로 그 약을 복용한 결과, 과연 눈이 매우 밝아져서 담장 너머에 있는 사람까지 환히 보였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五, 扁鵲 倉公傳>
 
 



번호 제     목 조회
4841 패궐[貝闕] ~ 패금투시호[貝錦投豺虎] 4838
4840 강교노과다[講郊魯過多] ~ 강궐청도[絳闕淸都] 4838
4839 거일명삼[擧一明三] ~ 거재두량[車載斗量] 4838
4838 계해반정[癸亥反正] ~ 계활[契濶] 4838
4837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4837
4836 습[襲] ~ 습가촌풍류[習家村風流] 4834
4835 회우[回愚] ~ 회음표모[淮陰漂母] 4834
4834 오봉[梧鳳] ~ 오봉루[五鳳樓] ~ 오부[五部] 4834
4833 감공[甘公] ~ 감군은[感君恩] 4832
4832 가빈감환졸[家貧甘宦拙] ~ 가생[賈生] 4831
4831 백타[白墮] ~ 백토공[白兎公] 4830
4830 각원[覺苑] ~ 각인각색[各人各色] 482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