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접리[接䍦] ~ 접석[接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21  
♞접리[接䍦] 접리는 두건(頭巾)의 이름인데,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술이 곤드레가 되어 접리를 거꾸로 썼다는 고사가 있다. 진(晋) 나라 때 산간(山簡)이 풍류가 있고 술을 좋아하였으므로, 당시 아동들이 노래하기를 “산공이 어디를 나가느뇨. 고양지까지 가는구나 석양엔 거꾸로 실려 돌아와서 잔뜩 취해 아무 것도 모른다네. 때로는 말을 타기도 하는데 백접리를 거꾸로 쓰고서 채찍 들고 갈강을 향해 가니, 어찌 그리도 병주아와 같은고.[山公出何許 往至高陽池 日夕倒載歸 酩酊無所知 時時能騎馬 倒著白接䍦 擧鞭向葛疆 何如幷州兒]” 한 데서 온 말이다.
♞접몽환장주[蝶夢還莊周] 옛날에 장주(莊周)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자신이 장주인 줄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얼마 뒤에 깨어나니 바로 장주였다. 이에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莊子 齊物論>
♞접석[接淅] 부리나케 떠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 제(齊) 나라를 떠날 적에 바쁘게 떠나느라 밥을 지으려고 쌀을 담가 두었다가 그냥 건져 가지고 떠났던[接淅而行] 고사가 있다. <孟子 萬章下>
 
 



번호 제     목 조회
473 강락[康樂] ~ 강랑한부[江郞恨賦] 4903
472 최성지[崔聖止] ~ 최장[催粧] 4904
471 최졸옹[崔拙翁] ~ 최해주[崔海州] 4904
470 장후[張侯] ~ 장후삼경[蔣詡三逕] 4904
469 갈관[鶡冠] ~ 갈등[葛藤] 4904
468 이유염매[爾惟鹽梅] ~ 이육[二陸] ~ 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 4904
467 자여씨[子與氏] ~ 자여예리[子輿曳履] ~ 자연도태[自然淘汰] 4904
466 서자생추[徐子生蒭] ~ 서자호[西子湖] 4905
465 건안[建安] ~ 건원사덕[乾元四德] 4905
464 조선[朝鮮] ~ 조송설[趙松雪] 4906
463 팔좌[八座] ~ 팔좌신[八座臣] 4907
462 백첩[白疊] ~ 백첩건[白疊巾] 4908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