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접리[接䍦] ~ 접석[接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34  
♞접리[接䍦] 접리는 두건(頭巾)의 이름인데, 진(晉) 나라 때 산간(山簡)이 술이 곤드레가 되어 접리를 거꾸로 썼다는 고사가 있다. 진(晋) 나라 때 산간(山簡)이 풍류가 있고 술을 좋아하였으므로, 당시 아동들이 노래하기를 “산공이 어디를 나가느뇨. 고양지까지 가는구나 석양엔 거꾸로 실려 돌아와서 잔뜩 취해 아무 것도 모른다네. 때로는 말을 타기도 하는데 백접리를 거꾸로 쓰고서 채찍 들고 갈강을 향해 가니, 어찌 그리도 병주아와 같은고.[山公出何許 往至高陽池 日夕倒載歸 酩酊無所知 時時能騎馬 倒著白接䍦 擧鞭向葛疆 何如幷州兒]” 한 데서 온 말이다.
♞접몽환장주[蝶夢還莊周] 옛날에 장주(莊周)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자신이 장주인 줄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얼마 뒤에 깨어나니 바로 장주였다. 이에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것인지 나비가 꿈속에서 장주가 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었다. <莊子 齊物論>
♞접석[接淅] 부리나케 떠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 제(齊) 나라를 떠날 적에 바쁘게 떠나느라 밥을 지으려고 쌀을 담가 두었다가 그냥 건져 가지고 떠났던[接淅而行] 고사가 있다. <孟子 萬章下>
 
 



번호 제     목 조회
4793 종사[從事] ~ 종산[鍾山] 4833
4792 희수[喜壽] ~ 희신보[喜神譜] 4832
4791 강고어[羌古魚] ~ 강굉피[姜肱被] 4832
4790 구구사기직[瞿瞿思其職] ~ 구기[九畿] 4832
4789 축록[逐鹿] ~ 축리접위구[逐利接爲構] 4830
4788 계루고[鷄婁鼓] ~ 계릉[桂陵] 4830
4787 유조[柔兆] ~ 유좌지기[宥坐之器] 4829
4786 결신난윤[潔身亂倫] ~ 결의형제[結義兄弟] 4829
4785 경호[鏡湖] ~ 경화원[瓊花院] 4827
4784 불사[不死] ~ 불상위모[不相爲謀] 4826
4783 허실광생백[虛室光生白] ~ 허심탄회[虛心坦懷] 4825
4782 공거[公車] ~ 공경대부[公卿大夫] 4825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