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정절망산도[靖節望山圖] ~ 정절책자[靖節責子]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15  
♞정절망산도[靖節望山圖] 정절망산도는 시호가 정절인 동진(東晉) 때의 고사(高士) 도잠(陶潛)이 남산(南山)을 관망하는 것을 묘사한 그림을 말한다. 도잠이 일찍이 팽택령(彭澤令)으로 있을 적에 독우(督郵)가 그곳에 이르자, 아전이 도잠에게 의관을 갖추고 독우를 보아야 한다고 하므로, 도잠이 탄식하기를 “내가 오두미(五斗米) 때문에 그런 향리 소인(鄕里小人)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 하고는, 당장 인끈을 풀어 던지고 고향으로 돌아와 종신토록 은거하였다.
♞정절삼경[靖節三徑] 정절은 도잠의 시호이다. 그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삼경(三徑)은 묵었지만 송국(松菊)은 여전하구나.”라고 하였는데, 삼경은 세 곳의 오솔길이다.
♞정절족복공속[鼎折足覆公餗] 일국의 대신이 어진 인재를 기용하여 국가 정무를 잘 수행하는 자기 직분을 다하지 못하고 소인배와 가까이 지내면 국가를 망치고 자신에게도 죄가 돌아온다는 비유이다. <易經 卷5 鼎>
♞정절집[靖節集] 도연명의 문집. 도연명의 시호가 정절이므로 ‘정절집’이라 한다.
♞정절책자[靖節責子] 정절은 동진(東晉) 때의 고사 도잠(陶潛)의 시호이다. 도잠이 불초한 다섯 아들을 나무란 시에 “두 귀밑은 이미 백발이 되었고 몸뚱이도 건강하지 못한데, 다섯 사내아이가 있기는 하나 모두가 지필을 좋아하지 않네 …… 천운이 진실로 이러하다면 오직 술이나 마셔야지[白髮被兩鬢 肌膚不復實 雖有五男兒 總不好紙筆 …… 天運苟如此 且進杯中物].” 한 데서 온 말이다. <陶淵明集 卷三 責子>
 
 



번호 제     목 조회
4745 육통[六通] ~ 육평천[陸平泉] 4771
4744 쌍배[雙排] ~ 쌍비[雙碑] 4769
4743 조어산성[釣魚山城] ~ 조여[曺蜍] 4769
4742 정협[鄭俠] ~ 정혜해당[定惠海棠] 4768
4741 인생감의기[人生感意氣] ~ 인생비청송[人生非靑松] 4767
4740 걸아긍향화[乞兒矜向火] ~ 걸인연천[乞人憐天] 4767
4739 의마[倚麻] ~ 의마심원[意馬心猿] ~ 의마재[倚馬才] 4767
4738 평봉[萍蓬] ~ 평실[萍實] 4766
4737 걸래벽해경어수[朅來碧海鯨魚手] ~ 걸신[乞身] 4766
4736 제하분주[濟河焚舟] ~ 제향[帝鄕] 4764
4735 팔선[八仙] ~ 팔십일번난[八十一番難] 4763
4734 강일[剛日] ~ 강장유가훈[絳帳留家訓] 4763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