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65  
♞조주[趙州] 조주화상(趙州和尙).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종심(從諗)을 가리킨다. 본성(本姓)은 학(郝)씨임. 남천보원(南泉普願)의 법제자로 조주(趙州)의 관음원(觀音院)에 주석하면서 법화(法化)가 크게 떨쳐 조주고불(趙州古佛)의 명호를 얻었다. 승려 하나가 조주에게 “달마가 서쪽에서 온 뜻[祖師西來意]이 무엇이냐.”고 묻자 “뜰 앞에 있는 잣나무[庭前栢樹子]”라고 대답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조주곡[朝晝梏] 사람의 마음이 사물을 접하기 전인 평조(平朝)의 즈음에는 선량한 마음이 발현되었다가도 낮[朝晝]에 온갖 사물을 접함에 이르러서는 그 선량한 마음을 어지럽히어 없어지게 된다는 데서 온 말이다. <孟子 告子上>
♞조주다[趙州茶] 조주의 차[茶]. 조주는 당(唐) 고승(高僧) 종심(從諗)의 법호(法號)로, 그 문하(門下)에서 도화(道化)가 크게 일어났는데, 조주와 곡천선사(谷泉禪師) 사이의 선문답(禪問答) 가운데 차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五燈會元>
♞조주무[趙州無] 중이 조주(趙州)에게 묻기를 “구자(狗子)는 불성(佛性)이 있습니까.” 하니, 조주는 “없다”[無]고 하였다. 이 무(無)라는 답은 곧 참선하는 이가 많이 쓰는 화두(話頭)이다.
♞조주인[釣周人] 강 태공(姜太公)을 가리킨다. 주(周) 나라 때 강 태공이 위천에서 낚시질을 하고 있다가 문왕(文王)을 만나서 세상에 나왔고, 또 무왕(武王)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5273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085
5272 신화[薪火] ~ 신후수위부귀진[身後誰爲富貴眞] 5081
5271 패택[沛澤] ~ 패합[捭闔] 5075
5270 좌정관천[坐井觀天] ~ 좌태충[左太冲] 5071
5269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5070
5268 조주[趙州] ~ 조주인[釣周人] 5066
5267 지기괴[支祈怪] ~ 지기석[支機石] ~ 지긴지요[至緊至要] 5060
5266 포뢰[蒲牢] ~ 포륜[蒲輪] 5052
5265 패합[捭闔] ~ 팽려호[彭蠡湖] 5049
5264 습감[習坎] ~ 습씨가[習氏家] 5047
5263 진퇴격[進退格] ~ 진퇴유곡[進退維谷] ~ 진편석혈[秦鞭石血] 5047
5262 중표[中表] ~ 중향성[衆香城] ~ 중화[中和] 504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