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족기성명[足記姓名] ~ 존백[尊伯]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946  
♞족[族] 뼈와 근육 등이 모여서 얽혀 있는 곳이다.
♞족기성명[足記姓名] 항우(項羽)가 일찍이 글을 배웠으나 되지 않자, 말하기를 “글은 성명이나 기록할 정도면 된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史記 項羽本記>
♞족매태[簇莓苔] 이끼가 파릇파릇 돋아남을 말한다.
♞족모찬삼[足暮餐三] 송(宋) 나라 저공(狙公)이 원숭이에게, 상수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 주겠다고 하니 노여워하므로, 그러면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주겠다고 하니 원숭이가 만족해하였다 한다.
♞족어양[足於良] 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고조(高祖)를 도와서 천하를 평정한 뒤에 말하기를 “세 치[三寸]되는 혀로써 제왕(帝王)의 스승이 되고, 만호후(萬戶侯)를 봉하였으니 양(良)에게 만족하다. 이제는 인간사를 버리고 신선을 배우겠다.” 하였다.
♞족일녕순의봉착[足逸寧循蟻封窄] 재능이 훌륭하여 곧 출세하리라는 뜻이다. 진서(晉書) 권75에 “왕잠(王湛)이 조카 제(濟)와 같이 말을 시험할 때 의봉(蟻封)으로 가서 말을 달려 돌았는데, 그가 지적한 말은 까딱 없었고 제가 타던 말은 지쳐 넘어졌다.” 한 데서 인용한 말이다.
 
♞족자[族子] 겨레붙이로서 유복친(有服親)이 아닌 조카뻘 되는 사람을 말한다.
♞족포[族庖] 일반적인 소잡이를 말한다.
♞존당[尊堂] 살아 계신 남의 아버지를 일컫는다.
♞존로[尊盧] 태고(太古) 시대의 제호(帝號)이다.
♞존로마[存老馬] 자신을 동정해 주는 사람이 하나도 없을 것이라는 말이다. 전자방(田子方)이 길을 가다가 집에서 버림받은 늙은 말을 보고는 “힘 좋을 때 써먹다가 늙었다고 내버리다니, 이런 짓을 인자(仁者)는 차마 하지 못하는 법이다.” 하고, 속백(束帛)으로 대속(代贖)해 주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韓詩外傳 卷8 第32章>
♞존몰애영[存沒哀榮] 논어(論語) 자장(子張)에 “살아 계실 때에는 모두 영광스럽게 여기고 돌아가셨을 때에는 애통해 한다.[其生也榮 其死也哀]”는 말이 있다.
♞존방불[存髣髴] 한때 희미해서 보이지 않는 수도 있다. 그러다가 마음이 뛰놀아 마치 물이 끓는 것과 같다.
♞존백[尊伯] 상대방의 형님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305 소상반죽[瀟湘班竹] ~ 소상일안[瀟湘一岸] ~ 소상후어[蕭相後語] 5160
304 풍운[風雲] ~ 풍운지회[風雲之會] 5161
303 진량[진良] ~ 진령사[榛苓思] ~ 진뢰[陳雷] 5163
302 지도[軹道] ~ 지도난문[至道難聞]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5165
301 목란[木蘭] ~ 목란주[木蘭舟] 5166
300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5166
299 가부좌[跏趺坐] ~ 가부희[假婦戲] 5167
298 취락궁[聚樂宮] ~ 취만부동[吹萬不同] 5167
297 포고[布鼓] ~ 포관격탁[抱關擊柝] 5167
296 지두화[指頭畫] ~ 지둔[支遁] ~ 지란장[支蘭藏] 5168
295 하충[夏蟲] ~ 하침대무[河沈大巫] 5171
294 십무[十畝] ~ 십상팔구[十常八九] 5171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