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태백가행[太白歌行] ~ 태백죽계[太白竹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04  
♞태백가행[太白歌行] 시체(詩體)의 일종인데, 이백(李白)의 가행(歌行)은 두보(杜甫)가 당하지 못하고, 두보의 율시(律詩)는 이백이 당하지 못한다 한다.
♞태백경천[太白經天] 태백성(太白星)이 오래 나타나 있음을 이른다. 동쪽에 나타난 태백성이 오시(午時)가 지나도록 없어지지 않으면 이를 경천(經天)이라 하는데 양(陽)이 미(微)하여 낮에 뵌다고 하여 관상감이 이를 아뢰면 임금은 으레 공구수성(恐懼修省)하였던 것이다.
♞태백금정[太白金精] 태백은 서방(西方) 백호(白虎)의 성수(星宿)에 있는 태백성(太白星)으로, 오행(五行) 가운데 금(金)의 정기를 지니고 있으며 병란(兵亂)을 주관한다고 여겨졌다.
♞태백장룡[太白藏龍] 태백산은 중국 섬서(陝西) 주질현(盩厔縣)남쪽에 있는 산 이름으로, 흔히 종남산(終南山)이라 부른다. 당 나라 때 태백산 중봉(中峯)꼭대기에서 살던 수백 살 먹은 인도에서 온 고승이, 깊은 못에 사는 악독한 용이 오랫동안 못된 짓을 하자 그것을 잡아 그릇에 가둬버렸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잠가주시 권2(岑嘉州詩 卷二) 태백호승가(太白胡僧歌)에 “창가에서 석장으로 두 호랑이 싸움 말리고 침상 밑의 바리때엔 한 마리 용을 가뒀다네[窓邊錫杖解兩虎 牀下鉢盂藏一龍]” 하였다.
♞태백주현[太白晝見] 태백성(太白星)이 낮에 보이는 것을 말한다. 태백성은 곧 금성(金星). 예전에는 이 별이 낮에 나타나는 것을 양기(陽氣)가 쇠약한 까닭으로 생기는 천문(天文)의 이변이며, 흉조(凶兆)라고 생각하였고, 경천은 주현보다 더 흉조로 여겼다.
♞태백죽계[太白竹溪] 태백은 당(唐) 나라 이백(李白)의 자이고, 죽계는 저래산(徂徠山) 아래 있는 지명이다. 이백이 술을 좋아하여 술친구인 공소보(孔巢父)·한준(韓準)·배정(裵政)·장숙명(張叔明)·도면(陶沔)과 함께 저래산에 있으면서 매일같이 취하도록 마시곤 하면서 ‘죽계육일(竹溪六逸)’이라 이름 하였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新唐書 卷二百二 李白傳>
 
 



번호 제     목 조회
4829 강절[絳節] ~ 강좌명류[江左名流] 4830
4828 고담준론[高談峻論] ~ 고당신몽[高唐神夢] 4830
4827 강좌이오[江左夷吾] ~ 강주사마루천행[江州司馬淚千行] 4829
4826 비인부전[非人不傳] ~ 비입허무장[飛入虛無藏] 4826
4825 강중[剛中] ~ 강총미환가[江摠未還家] 4823
4824 간고[諫鼓] ~ 간과만촉[干戈蠻觸] 4821
4823 춘년[椿年] ~ 춘대[春臺] 4820
4822 풍융[豐隆] ~ 풍자[風子] 4820
4821 회창[會昌] ~ 회추[會推] 4820
4820 거원비[蘧瑗非] ~ 거인[擧人] 4819
4819 자경금[紫瓊琴] ~ 자경누호아[子卿累胡娥] ~ 자경적노[子卿適虜] 4819
4818 풍초[豐貂] ~ 풍풍[渢渢] 4817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