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48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물방울이 오래 떨어지면 태산의 돌도 뚫린다는 말이다. 매승(枚乘)의 간오왕서(諫吳王書)에 “泰山之霤穿石 單極之綆斷幹”이라 하였다.
♞태산수[太山陲] 태산은 지금의 산동성 중부에 위치한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인데, 공자의 묘소가 있는 곡부(曲阜)의 북쪽에 있으므로 스승의 묘소로 인용된다.
♞태산압란[泰山壓卵] 태산처럼 무거운 것으로 달걀을 누른다. 매우 강하여 상대가 없거나 쉬운 일을 뜻한다.
♞태산퇴[泰山頹] 공자가 돌아가기 전 7일 아침에 불렀다는 노래이다. “태산이 무너지려는가, 대들보가 부러지려는가, 철인이 이울려는가[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禮 檀弓>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태산이 무너지고 대들보가 꺾인다는 말로, 한 시대의 스승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공자(孔子)가 아침 일찍 일어나 손을 등 뒤로 돌려 지팡이를 끌고 문앞을 거닐면서 “태산이 무너지려나, 대들보가 꺾이려나, 철인(哲人)이 병들려나[泰山其頹 梁木其壞 哲人其頹]”라고 노래했다. 그리고는 방으로 들어가 문을 마주하고 앉았다. 자공(子貢)은 노랫소리를 듣고 “태산이 무너진다면 나는 누구를 사모하고 우러러볼 것인가. 대들보가 꺾이고 철인이 병든다면 나는 장차 어디에 의지할 것인가. 부자(夫子)께서는 아마 장차 병이 드시려는 것이다”라고 중얼거렸다. 자공이 방으로 들어가자, 공자가 “사(賜)야, 너는 어찌하여 이다지도 더디 온단 말인가. 사람이 죽었을 때, 하후씨(夏后氏)는 동계(東階) 위에 안치했다. 동계는 주인이 오르내리는 계단이므로 죽은 자를 주인으로 대우하는 것이다. 은나라 사람은 두 기둥 사이에 시신을 안치했으니 죽은 이를 빈위(賓位)와 주위(主位)의 사이에 둔 것으로 신(神)으로 대우한 것이다. 주나라 사람들은 서계(西階) 위에 안치했다. 이는 죽은 이를 빈(賓)으로 대접하는 것이다. 구(丘)는 은나라 사람이다. 내가 어젯밤 꿈에 두 기둥 사이에 편안히 앉아 있었다. 무릇 밝은 임금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데 천하에서 누가 나를 군(君)으로 높일 것인가. 내가 어젯밤 꾼 꿈은 인군(人君)으로서의 조짐이 아니고 은나라 예절로 안치될 조짐이었다. 나는 장차 죽으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는 병들어 누운 지 이레 만에 자공과 증삼(曾參) 등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태산퇴양목절(泰山頹梁木折). <禮記 檀弓 上>
 
 



번호 제     목 조회
197 풍전[豐篆] ~ 풍중와룡[豊中臥龍] 5279
196 가거식육[駕車食肉] ~ 가거정묘[家居丁卯] ~ 가계야치[家鷄野雉] 5283
195 번간몽[墦間夢] ~ 번군[繁君] 5283
194 슬갑도적[膝甲盜賊] ~ 슬해[瑟海] 5283
193 번롱[樊籠] ~ 번복수[翻覆手] 5285
192 양지[兩地] ~ 양지삼천[兩地參天] ~ 양지양능[良知良能] 5287
191 장과[莊窠] ~ 장구령[張九齡] 5288
190 벽사창[碧紗窓] ~ 벽사홍수[碧紗紅袖] 5290
189 적재적소[適材適所] ~ 적제적룡[赤帝赤龍] 5291
188 백초[白草] ~ 백치성[百雉城] 5292
187 주복문자[拄腹文字] ~ 주불도유령분상토[酒不到劉伶墳上土] ~ 주불차전[籌不借前] 5292
186 장춘[莊椿] ~ 장침대금[長枕大衾] ~ 여대[輿臺] 5295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