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64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물방울이 오래 떨어지면 태산의 돌도 뚫린다는 말이다. 매승(枚乘)의 간오왕서(諫吳王書)에 “泰山之霤穿石 單極之綆斷幹”이라 하였다.
♞태산수[太山陲] 태산은 지금의 산동성 중부에 위치한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인데, 공자의 묘소가 있는 곡부(曲阜)의 북쪽에 있으므로 스승의 묘소로 인용된다.
♞태산압란[泰山壓卵] 태산처럼 무거운 것으로 달걀을 누른다. 매우 강하여 상대가 없거나 쉬운 일을 뜻한다.
♞태산퇴[泰山頹] 공자가 돌아가기 전 7일 아침에 불렀다는 노래이다. “태산이 무너지려는가, 대들보가 부러지려는가, 철인이 이울려는가[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禮 檀弓>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태산이 무너지고 대들보가 꺾인다는 말로, 한 시대의 스승이나 존경하는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공자(孔子)가 아침 일찍 일어나 손을 등 뒤로 돌려 지팡이를 끌고 문앞을 거닐면서 “태산이 무너지려나, 대들보가 꺾이려나, 철인(哲人)이 병들려나[泰山其頹 梁木其壞 哲人其頹]”라고 노래했다. 그리고는 방으로 들어가 문을 마주하고 앉았다. 자공(子貢)은 노랫소리를 듣고 “태산이 무너진다면 나는 누구를 사모하고 우러러볼 것인가. 대들보가 꺾이고 철인이 병든다면 나는 장차 어디에 의지할 것인가. 부자(夫子)께서는 아마 장차 병이 드시려는 것이다”라고 중얼거렸다. 자공이 방으로 들어가자, 공자가 “사(賜)야, 너는 어찌하여 이다지도 더디 온단 말인가. 사람이 죽었을 때, 하후씨(夏后氏)는 동계(東階) 위에 안치했다. 동계는 주인이 오르내리는 계단이므로 죽은 자를 주인으로 대우하는 것이다. 은나라 사람은 두 기둥 사이에 시신을 안치했으니 죽은 이를 빈위(賓位)와 주위(主位)의 사이에 둔 것으로 신(神)으로 대우한 것이다. 주나라 사람들은 서계(西階) 위에 안치했다. 이는 죽은 이를 빈(賓)으로 대접하는 것이다. 구(丘)는 은나라 사람이다. 내가 어젯밤 꿈에 두 기둥 사이에 편안히 앉아 있었다. 무릇 밝은 임금이 일어나지 않고 있는데 천하에서 누가 나를 군(君)으로 높일 것인가. 내가 어젯밤 꾼 꿈은 인군(人君)으로서의 조짐이 아니고 은나라 예절로 안치될 조짐이었다. 나는 장차 죽으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는 병들어 누운 지 이레 만에 자공과 증삼(曾參) 등 제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태산퇴양목절(泰山頹梁木折). <禮記 檀弓 上>
 
 



번호 제     목 조회
173 가배[嘉俳] ~ 가법홀종금궤변[家法忽從金樻變]~ 가봉료거전[歌鳳鬧車前] 5327
172 장인사길연희효[丈人師吉演羲爻] ~ 장인유옹불수기[丈人有甕不須機] ~ 장인포옹[丈人抱瓮] 5330
171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 장수마[莊叟馬] ~ 장수선무[長袖善舞] 5332
170 패택[沛澤] ~ 패합[捭闔] 5341
169 설니홍조[雪泥鴻爪] 5342
168 자오[慈烏] ~ 자오반포[慈烏反哺] ~ 자우[子羽] 5342
167 추로[鄒魯] ~ 추매자[椎埋者] 5345
166 정유격[程遊擊] ~ 정이불박[精而不博] 5348
165 번상[樊上] ~ 번소[樊素] 5351
164 전거[氈車] ~ 전거지감[前車之鑑] 5352
163 목난[木難] ~ 목덕[木德] 5357
162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5359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