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포객[逋客] ~ 포계[匏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79  
♞포[袍] 북채.
♞포[哺] 새끼를 먹이다.
♞포[蒲] 지금의 하남성 장원현(長垣縣) 경내에 있었던 포판(蒲阪)을 말한다.
♞포[蒲] 지금의 하남성 장원현(長垣縣) 경내의 춘추 때 위나라의 성읍이다.
♞포[圃] 포(圃)는 습지(濕地)를 말한다.
♞포객[逋客] 포객은 도망간 은자(隱者)를 뜻한 말로, 남제(南齊) 때의 은사 주옹(周顒)이 처음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벼슬길에 나가자, 그의 친구인 공치규(孔稚圭)가 그 변절(變節)을 풍자한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청컨대 속사의 수레를 돌리어라, 신령을 위하여 포객을 사절하노라.[請廻俗士駕 爲君謝逋客]” 한 데서 온 말이다.
♞포견[袍繭] 제복(祭服)의 일종이다. <宋史 輿服志>
♞포계[匏繫] 공자(孔子)가 불힐(佛肹)의 부름을 받고 가려 하니, 자로(子路)가 말리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내가 어찌 박[匏]이나 오이[苽]냐. 한 군데 매여 살게.” 하였다.
♞포계[匏繫] 한 곳에 매달린 뒤웅박이라는 말로, 벼슬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골에 내려가 한가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내가 어찌 뒤웅박처럼 한 곳에 매달린 채 먹기를 구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라고 탄식한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257 추형[秋螢] ~ 추획사[錐劃沙] 5218
256 장석[丈席] ~ 장석음[莊舃吟] 5219
255 취아[翠娥] ~ 취옹정[醉翁亭] 5221
254 불성무물[不誠無物] ~ 불세출[不世出] 5223
253 각극[刻棘] ~ 각기득기소[各己得其所] 5224
252 무산운우[巫山雲雨] ~ 무산지몽[巫山之夢] 5224
251 춘란추국[春蘭秋菊] ~ 춘몽파[春夢婆] 5228
250 속한서[續漢書] ~ 손곡[蓀谷] 5228
249 자첨반룡구[子瞻蟠龍句] ~ 자초지종[自初至終] ~ 자추사[子推事] 5230
248 견우불복상[牽牛不服箱] ~ 견의불위무용야[見義不爲 無勇也] 5233
247 단사두갱[簞食豆羹] ~ 단서차화곤[丹書借華袞] 5234
246 순릉[順陵] ~ 순문약[荀文若] 5238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