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풍시[風詩] ~ 풍어초상[風於草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55  
♞풍시[風詩] 시경(詩經) 국풍(國風) 15편으로 즉 주남(周南)·소남(召南)·패(邶)·용(鄘)·위(衛)·왕(王)·정(鄭)·제(齊)·위(魏)·당(唐)·진(秦)·진(晉)·회(檜)·조(曹)·빈(豳)을 이른다.
♞풍신[楓宸] 제왕의 궁전을 말한다. 신(宸)은 북신(北辰)이 있는 곳으로 임금의 궁궐을 뜻하는데, 한(漢) 나라 때 그곳에 단풍나무를 많이 심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풍씨당웅[馮氏當熊] 한(漢) 나라 성제(成帝)가 동물원에서 노는데, 갑자기 곰이 뛰어나와 임금 있는 쪽으로 달려오니, 모시고 있는 풍원(馮媛)이 급히 나서서 곰의 앞에 막아서며 “맹수(猛獸)는 사람을 얻으면 그치는 것이다.” 하였다.
♞풍아[風雅] 시경(詩經)의 국풍(國風)과 대아(大雅)·소아(小雅)를 말하는데, 전하여 바르고 고상한 시문(詩文)의 비유로 쓰인다. 시경(詩經) 서(序)에 “시(詩)에는 육의(六義)가 있으니 1은 풍(風), 2는 아(雅)라”하였고, 그 주에, ‘한 나라의 일은 풍(風)이 되고 천하의 일은 아(雅)가 된다.’ 하였다.
♞풍앙[渢泱] 춘추시대 때에 오(吳) 나라 계찰(季札)이 주(周)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각국의 음악을 듣고 “위(衛)의 음악은 풍풍하고 제(齊)의 음악은 앙앙하구나.” 하였다.
♞풍어[風馭] 전설 속에 나오는 수레로, 바람을 타고 몰아가는 신선의 수레를 말한다.
♞풍어초상[風於草上] 공자의 말에 “윗사람의 덕은 바람이요, 아랫사람은 풀과 같아서 반드시 바람을 따른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937 위문[尉文] ~ 위문후[魏文侯] 4971
4936 자임[自任] ~ 자자어비자[刺刺語婢子] ~ 자작지얼[自作之孼] 4969
4935 피차일반[彼此一般] ~ 필갈양단[必竭兩端] 4967
4934 개옥[改玉] ~ 개유불망[蓋帷不忘] 4967
4933 걸교[乞巧] ~ 걸교희주[乞巧喜蛛] 4966
4932 자유[子游] ~ 자유유섬계[子猷遊剡溪] ~ 자유섬계[子猷剡溪] 4963
4931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4959
4930 정승[定僧] ~ 정시지음[正始之音] 4958
4929 장두백전[杖頭百錢] ~ 장득아손유로분[長得兒孫有老盆] 4956
4928 옥횡[玉橫] ~ 온거[轀車] ~ 온교취태[溫嶠醉態] 4956
4927 취우[驟雨] ~ 취우혼처총허명[吹竽混處摠虛名] 4953
4926 주각우금한호씨[注脚于今恨胡氏] ~ 주객전도[主客顚倒] 495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