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하로[賀老] ~ 하륜[下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78  
♞하로[賀老] 이태백(李太白)을 적선(謫仙)이라고 일컬었던 당(唐) 나라의 하지장(賀知章)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비서감(祕書監)으로 있다가 그의 고향인 회계산 경호(鏡湖)의 도사(道士)로 나가게 해 줄 것을 청하자, 현종(玄宗)이 경호(鏡湖) 1곡(曲)을 하사하였으므로, 경호를 하감호(賀監湖) 혹은 감호(鑑湖)로 부르게 되었는데, 이 시의 감호당이라는 당호(堂號) 역시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참고로 이태백의 시에 “강동을 향해서 가고 싶다만, 정작 누구와 술잔을 들꼬. 회계산에 이미 하로도 없지 않나, 술 실은 배 노 저어 돌아올밖에.[欲向江東去 定將誰擧杯 稽山無賀老 却棹酒船回]”라는 구절이 나온다. <李太白集 卷22 重憶> 소동파의 시에 “경호에 하감 같은 사람이 없어, 혜산의 길목에서 통곡하노라.[鏡湖無賀監 慟哭嵆山道]”라는 구절이 보인다. <蘇東坡詩集 卷15 哭 景純>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쓸모 없는 재능을 말한다.
♞하로아오어[賀老雅吳語] 하로(賀老)는 당(唐) 나라 때의 시인 하지장(賀知章)을 이른다. 그는 현종(玄宗) 때에 벼슬이 비서감(祕書監), 예부 시랑(禮部侍郞)에 이르러 그만두고 도사(道士)가 되기를 청하여 고향으로 돌아갔었다. 오어(吳語)는 남방(南方)의 방언을 가리키는데, 두보(杜甫)의 견흥시(遣興詩)에 “하공은 본디 오어를 잘하여, 관직에 있어도 항상 맑고 미치광이 같았네[賀公雅吳語 在位常淸狂].”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集 卷七>
♞하루[何陋] 공자가 구이(九夷)에 살고 싶어하자, 어떤 이가 말하기를 “고루해서 어떠하시겠습니까?” 하니, 공자가 “군자가 사는데 무엇이 고루하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罕>
♞하류신난처[下流信難處] 논어(論語) 자장(子張)에 “군자는 하류에 처하는 것을 싫어하나니, 천하의 악이 모두 그곳으로 모여들기 때문이다.[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라고 한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의 말이 실려 있다.
♞하륜[下淪] 낮게 깔리다.
 
 



번호 제     목 조회
5117 하대관룡방[夏臺關龍逄] ~ 하돈안본[河豚贋本] 5239
5116 각골난망[刻骨難忘] ~ 각광[脚光] 5238
5115 임참여간괴[林慚與澗愧] ~ 임천랍극[臨川蠟屐] ~ 임천성탄[臨川聖歎] 5238
5114 손초[孫楚] ~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5237
5113 견간[筧竿] ~ 견구인[牽狗人] 5237
5112 공손[公孫] ~ 공손홍[公孫弘] 5237
5111 한단침[邯鄲枕] ~ 한당인[漢黨人] 5236
5110 취모[醉帽] ~ 취모멱자[吹毛覓疵] 5235
5109 가로[家老] ~가류[苛留]~ 가릉빈가[迦陵頻伽] 5234
5108 고력사[高力士] ~ 고륜지해[苦輪之海] 5234
5107 축암[築巖] ~ 축원령[逐原鴒] 5232
5106 가동[賈董] ~ 가동주졸[街童走卒] ~ 가동필[呵凍筆] 523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