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해추[海鰌] ~ 해탈[解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93  
♞해추[海鰌] 바다의 미꾸리라고도 하는데 그 크기가 고래의 몇 10배나 된다고 옛 사람들은 믿었다.
♞해추[海鰌] 병선(兵船)의 이름이다. 소식(蘇軾)의 시에 “동쪽에서 온 고래 같은 해적들이 병선을 몰아내는데, 바다 귀신은 머리 아홉 거북이는 눈이 여섯[長鯨東來驅海鰌 天吳九首龜六眸]”이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50 送馮判官之昌國>
♞해치[獬豸] 짐승의 이름. 성질이 곧아서 사람의 말을 듣고 부정한 사람을 물어뜯는다고 한다. 옛날에는 사법관(司法官)이 그 가죽으로 관을 만들어 썼다 한다.
♞해치[獬豸] 해치(獬廌)와 같은데, 뿔이 하나인 양(羊)이다. 이 짐승은 천성이 사람의 죄 있음을 잘 알므로 고요(皐陶)가 옥(獄)을 다스릴 적에 그 죄가 의심되는 것은 이 양으로 하여금 받아 보게 했다 한다.
♞해치관[獬豸冠] 해치관은 옛날 법관(法官)들이 쓰던 관으로 사헌부(司憲府)의 관원이 되었음을 뜻한다.
♞해타[咳唾] 뛰어난 시문(詩文)을 뜻한다. 장자(莊子) 추수(秋水)의 “그대는 기침하며 내뱉는 저 침을 보지 못하는가. 큰 것은 주옥처럼 작은 것은 안개처럼 뿜어 나오곤 한다.[子不見夫唾者乎 噴則大者如珠 小者如霧]”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해타명주[咳唾明珠] 말을 뱉으면 그대로 훌륭한 문장이 되는 탁월한 재능을 형용한 말. 후한(後漢) 강엄(江淹)이 곽공(郭鞏)에게 이르기를 “그대는 침을 뱉으면 그대로 구슬과 옥이 되니, 녹록한 무리에 비할 바가 아니다.” 하였다. <後漢書 文苑傳 趙壹>
♞해탈[解脫] 석가는 고(苦)·집(集)·멸(滅)·도(道)의 사성제(四聖諦)와 입멸(入滅) 즉 해탈에 이르는 팔정도(八正道)를 설법하였다. <阿含經>
 
 



번호 제     목 조회
4745 소호[少昊] ~ 소홍사[小紅詞] 4760
4744 색우[嗇雨] ~ 색찬금문객[索粲金門客] 4759
4743 쌍배[雙排] ~ 쌍비[雙碑] 4758
4742 의마[倚麻] ~ 의마심원[意馬心猿] ~ 의마재[倚馬才] 4758
4741 팔선[八仙] ~ 팔십일번난[八十一番難] 4757
4740 강일[剛日] ~ 강장유가훈[絳帳留家訓] 4757
4739 걸래벽해경어수[朅來碧海鯨魚手] ~ 걸신[乞身] 4756
4738 제하분주[濟河焚舟] ~ 제향[帝鄕] 4755
4737 걸아긍향화[乞兒矜向火] ~ 걸인연천[乞人憐天] 4755
4736 격양가제력[擊壤歌帝力] ~ 격운니[隔雲泥] 4753
4735 진시화중귀[秦時火中歸] ~ 진식위[陳寔位] ~ 진양공자[晉陽公子] 4753
4734 추유[樞楡] ~ 추이[推迻] 475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