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허중위이[虛中爲离] ~ 허허남화생[栩栩南華生]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00  
♞허중위이[虛中爲离] 이괘(离卦)는 “☲이므로 가운데의 획이 비었다[離虛中].” 한다.
♞허지[許支] 허씨는 진(晉) 나라 때 명사(名士)였던 허순(許詢)으로 선비를 가리키고, 지씨는 진 나라 때 고승이던 지도림(支道林)으로 승(僧)을 가리키는데, 이들 둘은 서로 교유하면서 아주 친하게 지내었다. <世說新語 文學>
♞허창[許昌] 중국 하남성(河南省) 중부에 있는 도시. 서주(西周)와 춘추(春秋)시대에는 허국(許國)의 땅이었으며, 진(秦)나라 때에는 허현(許縣)이라고 불렀고, 동한(東漢) 말기에는 수도(首都)가 되었다. 1913년에 허창현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47년 시(市)로 승격하였다. 현재 29개의 민족이 거주한다.
♞허창해[許滄海] 창해는 조선 인조(仁祖) 때 사람 허격(許格)의 호. 그는 병자호란에 우리나라가 청 나라에 굴복하자, 유시(遺詩)를 남기고 자살하였다.
♞허필[許佖] 호는 연객(煙客), 자는 여정(汝正),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벼슬보다 학문에 열중하였다. 영조 때 시서화(詩書畫)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이름났었다.
♞허행원수맹일전[許行願受氓一廛] 맹자(孟子)에 있는 말인데, 등(藤)이라는 나라에서 맹자의 권고를 듣고 정전법(井田法)을 실시하였는데, 신농씨(神農氏)를 말하는 허행(許行)이 등 나라에 와서 토지 한 구역을 얻어서 농사지었다고 하였다.
♞허허남화생[栩栩南華生] 남화생은 곧 남화진인(南華眞人)에 추증된 장자(莊子)를 말하는데, 이 말은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옛날 장주(莊周)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기뻐하며 훨훨 날으는 나비가 분명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01 정호[鼎湖] ~ 정호신[鄭虎臣] 4994
400 자로부미[子路負米] ~ 자릉[子陵] ~ 자린고비[玼吝考妣] 4994
399 두무악[頭無岳] ~ 두미삼전[斗米三錢] 5000
398 자운[紫雲] ~ 자운식자종하보[子雲識字終何補] ~ 자운조[子雲嘲] 5002
397 범초[凡楚] ~ 범초존망[凡楚存亡] 5004
396 장정위[張廷尉] ~ 장조염승명려[莊助厭承明廬] ~장족자율사[將哫訾栗斯] 5006
395 패어[佩魚] ~ 패우독[佩牛犢] 5007
394 춘치자명[春雉自鳴] ~ 춘휘보하방[春暉報何方] 5008
393 습재[習齋] ~ 습착치[習鑿齒] 5009
392 팔의[八議] ~ 팔절[八節] 5009
391 백하[白下] ~ 백하골[柏下骨] 5010
390 자서[字書] ~ 자서검결[子胥劍決] ~ 자서결안[子胥抉眼] 5012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