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현가[絃歌] ~ 현가지호성[絃歌至虎城]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95  
♞현가[絃歌] 거문고를 타고 시를 읊는 것으로, 전하여 학문을 부지런히 하는 것을 뜻한다.
♞현가[絃歌] 현악(絃樂)에 맞추어 노래 부른다는 뜻으로, 정사를 함에 있어서 법도가 있어 백성들이 안락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노(魯) 나라 때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예악(禮樂)으로 가르쳤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모두 현가하였다고 한다. <論語 陽貨>
♞현가락[絃歌樂] 어려움 속에서도 예악(禮樂)을 견지하는 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재액(在厄)에 “외부와 두절된 상태에서 이레나 양식이 떨어지고 채소국도 충분히 먹지 못해 종자(從者)들이 모두 괴로워했는데도 공자만은 더욱 강개하여 강송하며 현가(絃歌)를 끊이지 않았다.” 하였다.
♞현가무성[絃歌武城] 조그마한 고을 수령의 어진 정사를 말한다. 공자(孔子)의 제자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원으로 있을 때에 공자가 갔더니, 고을에 현가(絃歌)의 소리가 울려 퍼지자, 공자가 빙그레 웃으면서 “닭을 잡는 데에 어찌하여 소 잡는 칼을 쓰느냐.”고 농담을 한 고사가 있다. 학교를 설치하고 교육을 시키는 데 예와 악[禮樂]을 가르치므로 줄을 퉁기고 노래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이다.
♞현가지[弦歌志] 세상을 예악(禮樂)으로 다스리려는 뜻을 이름. 일찍이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원이 되었을 때 공자가 그곳을 가니 현가의 소리가 들렸다는 데서 온 말이다. <論語 陽貨>
♞현가지호성[絃歌至虎城] 현가는 거문고나 비파 등으로 시나 노래를 읊는 것이며 호성(虎城)은 무성(武城)으로 고려 혜종(惠宗)의 이름을 휘(諱)한 것이다.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유(子游)가 무성의 원이 되었었는데 공자가 그 고을에 가자, 곳곳에서 현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공자는 자유가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다스린다 하여 매우 기뻐한 일이 있었다. <論語 先進>
 
 



번호 제     목 조회
581 하로[賀老] ~ 하륜[下淪] 4769
580 견마[犬馬] ~ 견물생심[見物生心] 4772
579 재박위적[材朴委積] ~ 재배경복[栽培傾覆] 4773
578 려[葛亮廬] ~ 갈불음도천수[渴不飮盜泉水] 4776
577 감목공구[監牧攻駒] ~ 감불생심[敢不生心] 4776
576 감찰[監察] ~ 감체[欿傺] 4776
575 인자무적[仁者無敵] ~ 인자옹[人鮓甕] ~ 인자호반[人字號飯] 4776
574 폐우[蔽牛] ~ 폐육아[廢蓼莪] 4777
573 거상[車箱] ~ 거서혼일[車書混一] 4777
572 불간지서[不刊之書] ~ 불계[祓禊] 4778
571 사사건건[事事件件] ~ 사사오입[四捨五入] 4778
570 석고[石鼓] ~ 석곡[石谷] 4779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