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획리가[畫鯉歌] ~ 획사[畫沙]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86  
♞획리가[畫鯉歌] 소식(蘇軾)의 획어가(畫魚歌)를 전용(轉用)한 말이다. 획어는 갈고리로 고기를 끌어올린다는 뜻으로 소식은 당시의 신법(新法)이 백성을 괴롭히는 것을 은밀히 풍자하여 지은 획어가에서 “날 춥고 물 말라 고기가 진흙 속에 있는데, 쟁기질하듯 짧은 갈고리로 물을 그어대네. 물가의 부들 꺾이고 물풀도 산란해져라, 이 뜻이 어찌 잔고기인들 남겨 둘손가.[天寒水落魚在泥 短鉤畫水耕犁 渚蒲披折藻荇亂 此意豈復遺鰍鯢]” 하였다. <蘇東坡詩集 卷八>
♞획린[獲麟] 공자가 편찬한 춘추는 춘추시대 때인 노은공(魯隱公) 식고(息姑) 원년 기원전 722년에 시작하여 노애공(魯哀公) 장(將) 39년 기원전481년에 끝나는 242년 간의 노나라 역사책이다. 노애공 치세 때 노나라에 기린이 나타났으나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고 죽여 버리자 공자는 그것은 군주들이 무도하여 하늘의 뜻을 받들지 못한 것이라고 한탄하며 춘추를 끝냈다. 이를 획린(獲麟)이라고 한다. 공자는 2년 후인 기원전 479년에 죽었다.
♞획린[獲麟] 기린은 성군(聖君)의 태평 시대에나 나오는 신수(神獸)인데, 난세(亂世)에 기린을 잡았다[獲麟]는 대목에서 공자(孔子)가 춘추(春秋)를 저술하다 절필(絶筆)한 고사가 전한다.
♞획린[獲麟] 노 애공(魯哀公) 14년에 애공이 서쪽으로 사냥을 나가 기린을 잡았는데, 공자가 이 말을 듣고 말하기를 “나의 도가 궁해졌구나.” 하였다. 공자가 춘추(春秋)를 쓰다가 이 때에 이르러 중지하였다. <史略 卷 1>
♞획사[畫沙] 높은 경지의 필법(筆法)을 뜻하는 말이다. 서예 공부를 할 때 송곳으로 모래 더미 위에 글씨를 쓰는 것처럼 공을 들여야[以錐畫沙] 비로소 강건하고 묘한 필법이 나온다고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913 주경[周京] ~ 주계군[朱溪君] 4914
4912 고어[皐魚] ~ 고어지사[枯魚之肆] 4914
4911 도온[道韞] ~ 도온고풍[道蘊高風] ~ 도외시[度外視] 4914
4910 사해동포[四海同胞] ~ 사해형제[四海兄弟] 4913
4909 정장[靚粧] ~ 정저지와[井底之蛙] 4913
4908 조서[照犀] ~ 조석오[朝夕烏] 4912
4907 구야자[歐冶子] ~ 구약현하[口若懸河] 4912
4906 장전[張顚] ~ 장전선[張錢選] ~ 장전익[章全益] 4912
4905 백판[白板] ~ 백팔음중지일심[百八音中只一心] 4911
4904 강영과[江盈科] ~ 강유겸전[剛柔兼全] 4910
4903 추오[楸梧] ~ 추월자[秋月子] 4907
4902 건장[建章] ~ 건즐[巾櫛] 4906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