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회남소산[淮南小山] ~ 회남왕[淮南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17  
♞회남소산[淮南小山] 산림(山林)에 은거하려는 뜻을 말한다. 한(漢) 나라 때 회남왕 안(淮南王安)이 천하의 준걸들을 모아 시를 짓게 한 뒤 시경(詩經)의 소아(小雅)와 대아(大雅)를 본떠 소산(小山)과 대산(大山)으로 시를 분류하였는데, 소산에 속하는 초은사(招隱士)라는 시 속에 굴원(屈原)을 흠모하며 산택(山澤)에 은거하려는 뜻이 담겨 있는 데에서 유래된 고사이다. <楚辭 卷8 招隱士>
♞회남왕[淮南王] 서한의 창업공신 경포(警砲)가 한왕 5년 기원전 202년 봉해진 후국(侯國)으로 구강(丘岡), 형산(衡山), 여강(廬江), 예장(豫章) 등의 4군을 봉지로 하고 도성을 육현(六縣)에 두었다. 한신(韓信)과 팽월(彭越)이 모반죄로 모두 주살되는 것을 본 경포가 반란을 일으키자 한고조가 진압하고 아들 유장(油長)을 회남왕에 봉했다.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을 말한다. 기원전 179년에 나서 122년에 죽었다. 회남여왕(淮南厲王) 유장(劉長)의 아들로서 독서를 좋아하고 거문고를 잘 탔으며 특히 사부를 짓는데 재능이 있었다. 유장은 고조 유방의 막내아들이다. 문제 16년 기원전 164년 아버지의 작위를 이어 받아 회남왕이 되었다. 경제 3년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란에 참가하려 했으나 승상의 간언으로 중지하여 란이 진압된 후에 무사할 수 있었다. 무제가 들어서자 문재가 출중하여 총애를 얻고 무제의 명으로 이소전(離騷傳)을 지었다. 새벽에 황제의 침전에 들러 식사를 같이 하면서 글을써 완성했다. 일찍이 빈객과 방술인을 모으기 시작해서 수천 명에 달했다. 내서(內書) 21편, 외서(外書) 33편, 중편(中篇) 8권 등의 책을 편찬했다. 후에 모두 합하여 회남홍열(淮南鴻列)이라고 칭했다. 즉 회남자(淮南子)다.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잡가(雜家)의 계열에 섰다. 원수(元狩) 원년 기원전 122년 모반사건이 발각되어 자살했다.
 
 



번호 제     목 조회
5225 추자[鶖子] ~ 추자취율[鄒子吹律] 5490
5224 지랑[支郞] ~ 지록위마[指鹿爲馬] ~ 지뢰[地籟] 5490
5223 주려[周廬] ~ 주련벽합[珠聯璧合] ~ 주로[朱鷺] 5476
5222 주사[柱史] ~ 주사소단조[柱史燒丹竈] ~ 주사직[朱絲直] 5476
5221 주처[周妻] ~ 주천리[珠千履] ~ 주촉[晝燭] 5468
5220 자기야상우두고[紫氣夜上牛斗高] ~ 자기출서관[紫氣出西關] ~ 자니[紫泥] 5466
5219 주류[肘柳] ~ 주륜취개[朱輪翠蓋] ~ 주륜화불[朱輪華紱] 5463
5218 증제[烝祭] ~ 증창승부[憎蒼蠅賦] ~ 증처회유[贈處回由] 5448
5217 주진촌[朱陳村] ~ 주진혼[朱陳婚] ~ 주창[周昌] 5447
5216 자장[子長] ~ 자장격지[自將擊之] ~ 자장유[子長遊] 5435
5215 자지미[紫芝眉] ~ 자지전[柘枝顚] ~ 자진곡[子眞谷] 5434
5214 왕사진[王士禛] ~ 왕사축승[王思逐蠅] ~ 왕상[王祥] 5432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