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회선[回仙] ~ 회심지처불필재원[會心之處不必在遠]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21  
♞회선[回仙] 당(唐) 나라 때의 선인(仙人) 여동빈(呂洞賓)의 별칭이다.
♞회설[回雪] 기녀(妓女)가 옷소매를 번득이며 춤추는 자태의 경묘(輕妙)함을 이른 말이다.
♞회소[懷素] 당(唐) 나라 때의 고승(高僧)으로, 특히 초서(草書)에 뛰어났다.
♞회소곡[會蘇曲] 신라(新羅) 유리왕(儒理王) 9년에 육부(六部)의 호칭을 정하고 중간을 나누어 둘로 만든 다음, 왕녀(王女) 2인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고 편을 나누어 7월 보름날로부터 매일 이른 아침부터 대부(大部)의 마당에 모아놓고 길쌈을 하여 이경(二更) 쯤에 일을 끝내곤 해서 8월 보름날까지 일을 계속하고 나서는 그 공(功)의 많고 적음을 상고하여, 진 쪽에서는 주식(酒食)을 마련하여 이긴 쪽에 사례를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 잔치에 가무(歌舞)와 백희(百戲)를 모두 베풀었으므로, 이를 가배(嘉俳)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 때에 진 집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면서 탄식하기를 ‘회소 회소(會蘇會蘇)’라 하였는바, 그 음조가 슬프고도 우아하였으므로, 후인들이 그 소리를 인하여 노래를 지어 회소곡이라 이름하였다.
♞회수함풍상[懷袖含風霜] 어사대는 직책이 음살(陰殺)의 속성을 띠고 있는 관계로 문(門)이 북쪽 귀퉁이에 있었다 하며, 이와 함께 불법(不法)을 규탄하기 때문에 어사의 직책을 풍상(風霜)의 직임이라고 하였다 한다. <通典 職官 御史臺>
♞회심[灰心] 불도를 닦는 마음을 뜻한다. 모든 망상(妄想)을 여의고 진여(眞如)의 경지에 도달함을 말한다.
♞회심지처불필재원[會心之處不必在遠] 자기 마음에 적합한 바는 반드시 먼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817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4843
4816 춘년[椿年] ~ 춘대[春臺] 4841
4815 풍화[風花] ~ 풍후[風后] 4840
4814 거원비[蘧瑗非] ~ 거인[擧人] 4839
4813 강중[剛中] ~ 강총미환가[江摠未還家] 4838
4812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837
4811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4837
4810 고야[姑射] ~ 고야작[姑射綽] 4836
4809 소호[少昊] ~ 소홍사[小紅詞] 4836
4808 유사[流沙] ~ 유산[儒酸] ~ 유삽수신매편가[有鍤隨身埋便可] 4835
4807 장묘식[場苗食] ~ 장문창[張文昌] 4834
4806 숙복[宿福] ~ 숙불환생[熟不還生] 4833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