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회우[回愚] ~ 회음표모[淮陰漂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33  
♞회우[回愚]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회[顔回]는 나와 말할 때에는 시종 ‘예, 예’ 하기만 하여 어리석은 줄 알았더니, 나가서 하는 것을 보면 잘 발휘하니, 어리석은 것이 아니로다.” 하였다.
♞회우당이문[會友當以文]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군자는 학문을 통해 벗을 모은다.[君子 以文會友]”라는 증자(曾子)의 말이 실려 있다.
♞회원[檜原] 회원은 회산(檜山), 즉 창원의 옛 이름이다.
♞회위[會圍] 회시(會試)의 별칭이다.
♞회유렵[會有獵] 임금으로부터 부름을 받을 것이라는 뜻이다. 주 문왕(周文王)이 위수(渭水) 가로 사냥을 나갔는데, 강 태공(姜太公)이 곧은 낚시로 반계(磻溪)에서 고기를 낚다가 문왕을 만났다 한다.
♞회윤대[悔輪臺] 무제가 만년(晩年)에 국경에서 윤대(輪臺)를 개척하다가 뉘우치고 파하는 조서(詔書)에 “세상에 어찌 신선이 있으랴.” 하는 구절이 있다.
♞회음[淮陰] 지금의 강소성 회음시(淮陰市)로 진말(秦末) 당시 동해군(東海郡)에 속한 현이다.
♞회음표모[淮陰漂母] 회음은 강소성(江蘇省) 회안현(淮安縣)의 서북쪽에 있었던 지명이다. 표모(漂母)는 빨래하는 부인으로 한신(韓信)에게 밥을 주었던 부인을 말한다. 한신(韓信)이 젊었을 때 집이 가난하여 굶고서 회음성(淮陰城) 밑에서 고기를 낚고 있었는데, 빨래하는 부인[漂母]이 그를 동정(同情)하여 여러 날 밥을 먹였다. 한신이 감사하여 “내가 성공하면 부인에게 후히 갚겠습니다.” 하니, 부인이 “내가 왕손(王孫)을 동정한 것이지, 어찌 뒷날의 갚음을 받기를 바란 것입니까.” 하였다. 그 뒤에 한신이 초왕(楚王)이 되어서 빨래하던 부인을 찾아서 금 천 근을 주었다.
 
 



번호 제     목 조회
5189 신화[薪火] ~ 신후수위부귀진[身後誰爲富貴眞] 5336
5188 주옥기무경[珠玉豈無脛] ~ 주옹주금유[朱翁晝錦遊] ~ 주왕불복수[周王不復狩] 5335
5187 목난[木難] ~ 목덕[木德] 5329
5186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추래[一椎來] ~ 일출처천자[日出處天子] 5322
5185 추로[鄒魯] ~ 추매자[椎埋者] 5321
5184 증제[烝祭] ~ 증창승부[憎蒼蠅賦] ~ 증처회유[贈處回由] 5319
5183 설니홍조[雪泥鴻爪] 5316
5182 정유격[程遊擊] ~ 정이불박[精而不博] 5314
5181 전거[氈車] ~ 전거지감[前車之鑑] 5313
5180 패택[沛澤] ~ 패합[捭闔] 5311
5179 번상[樊上] ~ 번소[樊素] 5307
5178 저광희[儲光羲] ~ 저도[楮島] 530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