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계견료운간[鷄犬鬧雲間] ~ 계구[鷄毬]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54  
♞계견료운간[鷄犬鬧雲間]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신선이 되어 승천할 무렵에, 그 정중(庭中)에 남아 있는 단약(丹藥)을 닭과 개가 쪼아먹고 핥아먹고 하여 닭·개도 모두 승천함으로써 천상(天上)에서 닭이 울고 운중(雲中)에서 개가 짖어댔다는 고사이다.
♞계계[悸悸] 겁이 나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모양, 절도가 있는 모양.
♞계계승승[繼繼承承] 자손(子孫)이 대대로 대를 이어 감. 계승(繼承).
♞계고직비[階高職卑] 품계는 높고 벼슬은 낮음.
♞계과포[繫瓜匏] 공자(孔子)의 말에 “내게 어찌 박[匏]이나 오이처럼 한 군데에 매어 있으란 말이냐.” 하였다.
♞계관화[鷄冠花] 속칭 맨드라미꽃을 말한다. 맨드라미꽃이 마치 닭볏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本草 鷄冠>
♞계교[鷄翹] 근시(近侍)들이 쓰는 관에 닭의 털[鷄翹]을 꽂는다.
♞계구[鷄毬] 식물(食物)의 이름이다. 당서(唐書) 예악지(禮樂志)에 “천보(天寶) 2년에 비로소 9월 초하룻날에는 제릉(諸陵)에 의(衣)를 천(薦)하였고, 또 항상 한식(寒食)에는 당죽(餳粥)·계구·뇌거(雷車)를 천했다.”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365 자방료채[子房了債] ~ 자배미근[炙背美芹] ~ 자벌[慈筏] 5058
364 이응[李膺] ~ 이응주[李膺舟] 5062
363 일편만촉각[一片蠻觸角] ~ 일폭십한[一暴十寒] ~ 일표음[一瓢飮] 5066
362 가분[加分] ~ 가불원[柯不遠] 5068
361 정주[程朱] ~ 정중훤[靜中喧] 5072
360 장평[長平] ~ 장평갱[長平坑] ~ 장평자[張平子] 5074
359 내열[內熱] ~ 내외거[內外擧] ~ 내외전[內外典] 5075
358 요황[要荒] ~ 요황위자[姚黃魏紫] 5075
357 손목[孫穆] ~ 손생폐호[孫生閉戶] 5076
356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078
355 당고[黨錮] ~ 당구삼년폐풍월[堂狗三年吠風月] ~ 당귀[當歸] 5079
354 백패[白牌] ~ 백포[白袍] 5082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