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강일[剛日] ~ 강장유가훈[絳帳留家訓]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64  
♞강일[剛日] 일진(日辰)에 갑(甲)·병(丙)·무(戊)·경(庚)·임(壬)이 든 날.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외사는 강일에 하며 내사는 유일에 한다.[外事以剛日 內事以柔日] “하였는데, 그 소(疏)에 “10일 중에 기수일이 다섯, 우수일이 다섯인데 갑·병·무·경·임은 강일이며, 을·정·기·신·계는 유일이 된다.[十日 有五奇五偶 甲丙戊庚壬爲剛 乙丁己辛癸爲柔]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외사는 치병(治兵)·순수(巡狩) 등의 일, 내사는 종묘 제사·관혼 상제를 뜻한다.
♞강자[綱字] 운부(韻府)에서 여러 글자를 묶은 음운 단위의 표제(標題) 글자로서, 곧 동운(東韻)의 여러 글자 중에서는 ‘동(東)’ 자, 동운(冬韻)의 글자들 중에서는 ‘동(冬)’ 자를 말한다.
♞강작아시구[强作哦詩癯] 맹교(孟郊)와 가도(賈島)는 당나라 헌종(憲宗) 때 같은 시대의 시인인데, 당시의 사람들이 그들의 시를 평하기를 “맹교는 차고, 가도는 여위었다[郊寒島瘦].” 하였다.
♞강장[絳帳] 강좌(講座). 후한(後漢)의 마융(馬融)이 호사스러움을 좋아하여 언제나 높은 당상에 앉아 진홍색 비단으로 된 휘장을 쳐두고 앞에서는 제생들을 교수하고 뒤에는 여악(女樂)을 배열해 놓았는데, 그 진홍색 휘장[絳帳]을 후세에 강좌(講座)를 미칭하는 뜻으로 전용하였다. <後漢書 馬融傳>
♞강장[絳帳] 후한서(後漢書) 마융전(馬融傳)에 “융의 거처(居處) 기복(器服)이 치식(侈飾)이 많아서 항상 고당(高堂)에 앉아 강사장(絳紗帳)을 치고서 앞으로는 생도들을 가르치고 뒤로는 여악(女樂)을 벌였다.” 하였다. 그래서 후세에 강좌(講座)를 지칭하여 강장이라 한다. 스승의 자리, 또는 서재(書齋).
♞강장유가훈[絳帳留家訓] 자식들을 엄하게 훈도한 것을 뜻한다. 옛날 후한(後漢)의 대유(大儒) 마융(馬融)이 고당(高堂)에 앉아 붉은 장막을 드리우고 생도를 가르쳤던 고사에서 유래한다. <後漢書 馬融傳>
 
 



번호 제     목 조회
353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075
352 개구소[開口笑] ~ 개두환면[改頭換面] 5076
351 가리[假吏] ~ 가림[嘉林] ~ 가매[假寐] 5077
350 풍우갱슬본비광[風雩鏗瑟本非狂] ~ 풍우불이[風雨不已] 5078
349 회자[膾炙] ~ 회적오시[晦迹吳市] 5084
348 송강왕[宋康王] ~ 송경문[宋景文] 5087
347 풍수부대[風樹不待] ~ 풍수통[風樹痛] 5088
346 수간개석준상고[須看介石遵常固] ~ 수간사마[授簡司馬] ~ 수거감우[隨車甘雨] 5088
345 십력[十力] ~ 십묘지[十畝地] 5092
344 한강백[韓康伯] ~ 한걸[寒乞] 5094
343 회로[回老] ~ 회명[晦明] 5094
342 건곤감리[乾坤坎离] ~ 건공주불흔[巾空酒不痕] 5097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