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개이부달[開而不達] ~ 개자추[介子推] ~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63  

개이부달[開而不達] 이는 君子之敎喩也……開而不達라고 보이는데, 군자의 교육 방법을 말한 것으로 군자는 일의 단서를 열어 보여 줄 뿐이요. 학생을 통달시키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개인[開印] 인궤를 열고 인을 찍음. 관인(官印)을 맡아 사무(事務)를 주장(主掌)하는 관원(官員)이 관아(官衙)에 나아가, 어제 또는 지난해에 집무(執務)를 마치고 인신(印信)을 간수하여 두었던 인궤(印櫃)를 열고 집무를 개시한다는 뜻이다.

개자[介子] 개자추.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 시대의 충신. 진 문공(晉文公)이 망명다닐 때 19년 동안 충성을 다했는데, 문공이 즉위하여 공로를 잊자, 개자추는 그것을 부끄럽게 여겨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綿山)에 들어가 숨었다. 뒤에 뉘우친 문공이 개자추를 찾았으나 찾지 못하자 산에 불을 질러 나오게 하려 했다. 그러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었다 한다.

개정[介亭] 홍점전(洪占銓)의 호이다.

개중[箇中] 이 가운데.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지금 내가 19년 동안 칼을 잡고서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아 왔는데, 칼날을 보면 지금 막 숫돌에서 꺼낸 것처럼 시퍼렇게 날이 서 있다.[刀刃若新發於硎] 소의 마디와 마디 사이에는 틈이 있는 반면, 나의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두께가 없는 나의 칼날을 틈이 있는 그 사이로 찔러 넣으면, 그 공간이 그야말로 널찍하기만 하여 칼을 놀리는 데에 아무 지장이 없다.[恢恢乎其於遊刃必有餘地矣]”라는 포정 해우(庖丁解牛)’의 유명한 일화가 실려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141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5281
5140 상자[相者] ~ 상장[相將] 5280
5139 주성[酒聖] ~ 주성강[周成康] ~ 주송심[周宋鐔] 5279
5138 채진[采眞]/채취생[彩翠生]/채침[蔡沈] 5277
5137 적선[謫仙] ~ 적선천상인[謫仙天上人] 5275
5136 노생지몽[盧生之夢] ~ 노서[鷺序] ~ 노성승부[魯聖乘桴] 5275
5135 적공빈부[翟公貧富] ~ 적궤[弔詭] 5273
5134 범장소거[范張素車] ~ 범조[凡鳥] 5272
5133 일배승지작일원[一倍乘之作一元] ~ 일백팔반[一百八盤] ~ 일번화[一番花] 5268
5132 정와[井蛙] ~ 정운시[停雲詩] 5266
5131 좌사[左史] ~ 좌상춘[座上春] 5265
5130 각단[角端] ~ 각득기소[各得其所] 5264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