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개이부달[開而不達] ~ 개자추[介子推] ~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58  

개이부달[開而不達] 이는 君子之敎喩也……開而不達라고 보이는데, 군자의 교육 방법을 말한 것으로 군자는 일의 단서를 열어 보여 줄 뿐이요. 학생을 통달시키려고는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개인[開印] 인궤를 열고 인을 찍음. 관인(官印)을 맡아 사무(事務)를 주장(主掌)하는 관원(官員)이 관아(官衙)에 나아가, 어제 또는 지난해에 집무(執務)를 마치고 인신(印信)을 간수하여 두었던 인궤(印櫃)를 열고 집무를 개시한다는 뜻이다.

개자[介子] 개자추.

개자추[介子推] 중국 춘추 시대의 충신. 진 문공(晉文公)이 망명다닐 때 19년 동안 충성을 다했는데, 문공이 즉위하여 공로를 잊자, 개자추는 그것을 부끄럽게 여겨 어머니를 모시고 면산(綿山)에 들어가 숨었다. 뒤에 뉘우친 문공이 개자추를 찾았으나 찾지 못하자 산에 불을 질러 나오게 하려 했다. 그러나 개자추는 나오지 않고 불에 타죽었다 한다.

개정[介亭] 홍점전(洪占銓)의 호이다.

개중[箇中] 이 가운데.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지금 내가 19년 동안 칼을 잡고서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아 왔는데, 칼날을 보면 지금 막 숫돌에서 꺼낸 것처럼 시퍼렇게 날이 서 있다.[刀刃若新發於硎] 소의 마디와 마디 사이에는 틈이 있는 반면, 나의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두께가 없는 나의 칼날을 틈이 있는 그 사이로 찔러 넣으면, 그 공간이 그야말로 널찍하기만 하여 칼을 놀리는 데에 아무 지장이 없다.[恢恢乎其於遊刃必有餘地矣]”라는 포정 해우(庖丁解牛)’의 유명한 일화가 실려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045 소상반죽[瀟湘班竹] ~ 소상일안[瀟湘一岸] ~ 소상후어[蕭相後語] 5153
5044 지도[軹道] ~ 지도난문[至道難聞]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5152
5043 풍운[風雲] ~ 풍운지회[風雲之會] 5151
5042 태산석감당[泰山石敢當] ~ 태산퇴양목괴[泰山頹梁木壞] 5150
5041 진량[진良] ~ 진령사[榛苓思] ~ 진뢰[陳雷] 5150
5040 자성혜[自成蹊] ~ 자송[自訟] ~ 자수선무[長袖善舞] 5143
5039 조욱[朝旭] ~ 조월천[趙月川] 5140
5038 가렴[價廉] ~ 가렴주구[苛斂誅求] ~ 가례[嘉禮] 5138
5037 이란격석[以卵擊石] ~ 이량[伊涼] 5134
5036 강호[羌胡] ~ 강호상망[江湖相忘] 5132
5035 인적사양[隣笛斜陽] ~ 인적상심[隣笛傷心] ~ 인정물[人情物] 5132
5034 금릉[金陵] ~ 금리[錦里] ~ 금림[禁林] 5131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