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거교[鉅橋] ~ 거노정[去魯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79  
♞거교[鉅橋] 은나라 주왕 때 나라의 식량창고가 있던 땅 이름으로 지금의 하북성 곡주현(曲周縣)이다.
♞거교[鉅橋] 은주(殷紂)의 큰 곡식 창고가 있던 땅. 주무왕(周武王)이 주(紂)를 치고 거교의 조[粟]을 꺼내어 은(殷) 나라의 주린 백성들을 진휼했다. <史記>
♞거구세린[巨口細鱗] 농어[鱸]의 아칭(雅稱)으로 쓰는 말이다.
♞거국사[去國賖] 두보(杜甫)의 위농시(爲農詩)에 “집 마련해 여기에서 늙으련다 농사지으려고 서울을 멀리 떠나 왔네[卜宅從玆老 爲農去國賖]” 한 데서 온 말이다. <杜少陵集 卷九>
♞거궐[巨闕] 거궐은 칼 이름이다. 장협(張協)의 칠명(七命)에 “풍륭(豐隆)은 망치를 휘두르고 비렴(飛廉)은 숯불을 풀무질하여 신기(神器)를 만들어 이름을 진거궐(珍巨闕)이라 했다.” 하였다.
♞거급[擧給] 환곡(還穀)이 많아지게 되면 이것을 가호(家戶)에 강제로 지급하였는데, 이를 거급이라고 한다.
♞거기부정[擧棋不定] 바둑을 두는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이다. 사물을 명확한 방침이나 계획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한다.
♞거노정[去魯情] 옛날 공자(孔子)는 부모가 계신 노 나라를 떠나면서 “내 어찌 빨리 가겠는가. 부모가 계신 나라인데.” 하였다. <孟子 萬章下>
 
 



번호 제     목 조회
497 포객[逋客] ~ 포계[匏繫] 4846
496 과라[蜾蠃] ~ 과물탄개[過勿憚改] 4846
495 희씨[姬氏] ~ 희양[餼羊] 4847
494 마행처우역거[馬行處牛亦去] ~ 마혁귀[馬革歸] ~ 마혁리시[馬革裹屍] 4849
493 개이부달[開而不達] ~ 개자추[介子推] ~ 개중유인발형초[箇中游刃發硎初] 4850
492 격안[隔案] ~ 격양가[擊壤歌] 4850
491 가타[伽陀] ~ 가풍[家風] 4852
490 기오[寄傲] ~ 기옹[綺翁] 4852
489 은낭[隱囊] ~ 은대[銀臺] 4855
488 팔용[八龍] ~ 팔월선사[八月仙槎] 4857
487 엄조[嚴助] 4858
486 비필충천[飛必沖天] ~ 비현령 이현령[鼻懸令 耳懸令] 4862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