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거수마룡[車水馬龍] ~ 거약유멸증[莒弱猶滅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56  
♞거수마룡[車水馬龍] 거마의 왕래가 흐르는 물이나 길게 늘어진 용처럼 끊임없이 많은 것을 형용한다. 즉, 행렬이 성대한 모양을 말한다.
♞거신[巨蜃] 바다 속에서 뜨거운 숨을 내뿜어 신기루(蜃氣樓)를 만들어 낸다는 전설상의 교룡(蛟龍)을 말한다.
♞거안[擧案] 남편을 잘 섬겼음을 뜻한다. 후한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아주 공경하여, 식사 때마다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받들어 올렸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逸民傳>
♞거안[據鞍] 자신의 건재(健在)를 과시하는 모습을 표현한 말이다. 후한(後漢)의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62세의 나이 때문에 출정(出征)을 허락받지 못하자, 광무제(光武帝) 앞에서 말 안장에 훌쩍 뛰어올라 좌우를 둘러보면서[據鞍顧眄] 자신의 용력(勇力)을 뽐냈던 고사가 있다. <後漢書 卷24 馬援列傳>
♞거안사위[居安思危] 편안한 때에 있어서도 앞으로 닥칠 위태로움을 생각함을 말한다.
♞거안제미[擧案齊眉] 서로 공경하며 화목하게 사는 부부생활을 말한다. 후한(後漢) 양홍(梁鴻)이 막노동 일을 하다가 집에 돌아오면, 그의 처 맹광(孟光)이 감히 얼굴을 쳐다보지 못하고서, 음식상을 이마 위에까지 들어 올렸다[擧案齊眉]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梁鴻傳>
♞거야[鉅野] 중국 산동성(山東省)에 있는 거대한 늪지대의 이름이다.
♞거약유멸증[莒弱猶滅鄫] 힘만이 표준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거(莒)와 증(鄫)은 둘 다 춘추(春秋) 시대의 약소국들인데, 거가 증과 싸워 이겨 증을 멸하였음. <左氏傳 襄公 六年>
 
 



번호 제     목 조회
4805 패방[牌坊] ~ 패수송경[浿水松京] 4802
4804 자장포궤[子張鋪几] ~ 자전무고[紫電武庫] ~ 자조[煮棗] 4802
4803 결신난윤[潔身亂倫] ~ 결의형제[結義兄弟] 4801
4802 계루고[鷄婁鼓] ~ 계릉[桂陵] 4800
4801 축융[祝融] ~ 축일상제[逐日霜蹄] 4799
4800 유조[柔兆] ~ 유좌지기[宥坐之器] 4797
4799 희수[喜壽] ~ 희신보[喜神譜] 4796
4798 강고어[羌古魚] ~ 강굉피[姜肱被] 4796
4797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796
4796 구구사기직[瞿瞿思其職] ~ 구기[九畿] 4795
4795 평향정[萍鄕政] ~ 폐구계자[弊裘季子] 4794
4794 공거[公車] ~ 공경대부[公卿大夫] 479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