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거일명삼[擧一明三] ~ 거재두량[車載斗量]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54  
♞거일명삼[擧一明三] 하나를 들어 보이면 즉시 세 개를 이해하는 것으로, 대단히 현명하고 이해가 빠른 것의 비유하는 말이다.
♞거일반삼[擧一反三] 하나를 들어 세 가지를 돌이킨다. 스승으로부터 하나를 배우면 다른 것까지도 유추해서 아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거자불추 래자불거[去者不追 來者不拒] 가는 사람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은 물리치지도 않는 다는 뜻이다.
♞거자일소[去者日疎] 아무리 슬픈 사별(死別)을 했더라도 죽은 사람은 날이 감에 따라 차차 잊혀지고 절친한 사이였던 사람도 일단 멀리 떠나면 점차 소원(疎遠)하게 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거자필반[去者必反] 떠난 자는 반드시 돌아옴. 회자정리(會者定離).
♞거재두량[車載斗量] 수레에 싣고 말로 헤아림. 곧, 아주 많음. 또는 썩 많아서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삼국 시대 오(吳)나라는 촉(蜀)의 관우를 공격해 죽여 촉나라와 적대하기에 이르렀다. 기원전 221년 촉나라는 오나라를 칠 군사를 내보내고, 오나라 군주 손권(孫權)은 위(魏)나라에 구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그 사자로 선출된 중대부(中大夫) 조자(趙咨)에게 손권이 강력하게 당부했다. “결코 오나라의 체면을 손상시켜선 아니 되오.” 조자는 명심하고 출발했다. 조자가 위나라의 수도에 도착하자, 조비(曹丕)는 그가 찾아온 뜻을 알면서도 짐짓 물어 보았다. “오나라의 임금은 어떤 인물이요?” “총명하고 자애롭고 똑똑하며, 뛰어난 재능과 원대한 지략의 소유자입니다.” “과장이 좀 심하군요.” 조비가 비꼬듯이 웃으니, 조자는 하나하나 실례를 들어 반론했다. 조비가 또 물었다. “만일 내가 오나라를 공격한다면 어떻겠소?” “대국에 무력이 있다면, 소국에도 방위책이 있습니다.” “오나라는 위나라를 두려워하고 있겠지요.” “두려워하고 있다니요. 100만의 용맹한 군사와 천험(天險)이 있습니다.” “그대 같은 인재가 오나라에는 몇 명쯤 있소?” “나 같은 자는 거재두량(車載斗量)할 만큼 있습니다.” 조비가 탄복하며 말했다. “사신으로 가서 군주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음은 그대와 같은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오.” 열석한 위나라의 신하들고 모두 감동을 받았다. 이리하여 오나라와 위나라의 군사 제휴는 성립되었다. 조자가 오나라에 돌아오자, 손권은 사명을 완수한 데 대해 상을 내리고, 기도위(騎都尉)로 승진시겼다.<三國志 吳書 吳主孫權傳>
 
 



번호 제     목 조회
5141 군자우[君子芋] ~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5283
5140 증예[烝乂] ~ 증유진[甑有塵] ~ 증점슬[曾點瑟] 5283
5139 주성[酒聖] ~ 주성강[周成康] ~ 주송심[周宋鐔] 5281
5138 채진[采眞]/채취생[彩翠生]/채침[蔡沈] 5279
5137 노생지몽[盧生之夢] ~ 노서[鷺序] ~ 노성승부[魯聖乘桴] 5279
5136 적공빈부[翟公貧富] ~ 적궤[弔詭] 5277
5135 적선[謫仙] ~ 적선천상인[謫仙天上人] 5277
5134 범장소거[范張素車] ~ 범조[凡鳥] 5274
5133 일배승지작일원[一倍乘之作一元] ~ 일백팔반[一百八盤] ~ 일번화[一番花] 5270
5132 정와[井蛙] ~ 정운시[停雲詩] 5268
5131 범옹[范翁] ~ 범왕궁[梵王宮] 5267
5130 좌사[左史] ~ 좌상춘[座上春] 5267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