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견간[筧竿] ~ 견구인[牽狗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237  
♞견[見] 조사. 동사 앞에 사용해 나에게 어떠한가를 표현한다.
♞견[甄] 지금의 산동성 견성현(甄城縣) 동북으로 전국 때 제나라 땅이다.
♞견간[筧竿] 샘물을 멀리서 끌어오는 긴 대나무 홈통을 말한다.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理致)에 닿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여 자기의 주장에 맞도록 함. 즉, 가당치도 않는 말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억지로 끌어다 붙임. 自己合理化. 我田引水.
♞견거[牽裾] 견거는 임금의 부당한 처사에 대하여 옷소매를 끌어당기며 직간(直諫)하는 것을 의미한다.
♞견거[遣車] 견거는 생체(牲體)를 싣는 수레이다.
♞견광[獧狂] 견은 지조가 매우 굳세어 융통성이 없는 것을 말하고, 광은 뜻만 너무 커서 행실이 뜻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이른다. 공자가 이르기를 “중도(中道)를 지닌 사람을 얻어서 도를 전하지 못할 경우에는 반드시 광견(狂獧)을 택하겠다. 광한 자는 진취하는 바가 있고, 견한 자는 뜻이 견고하다.”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子路>
♞견구양생[犬救楊生] 진(晉) 나라 때 양생(楊生)이라 불리는 사람이 있었는데 무척 개를 사랑하였다. 한번은 겨울철에 술에 취하여 큰 못가에 누웠는데, 산불이 나서 타오르고 있었으나 양생은 모르고 잠을 잤다. 이때 개는 아무리 주인을 깨웠으나 일어나지 않자, 못에 가서 몸을 물에 적셔 주인을 살렸다 한다. <續搜神紀>
♞견구인[牽狗人] 견구(牽拘)는 구속(拘束)을 받는다는 뜻으로, 사기(史記) 효무본기(孝武本紀)에 “유자(儒者)들이 봉선에 대한 일을 밝게 알지 못한데다가 또 시경, 서경 등 고문에 구애를 받은 나머지 감히 자기 의사를 발표하지 못하였다.[群儒旣以不能辨明 又牽拘于詩書古文而不敢騁]”라는 기사가 실려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5201 견지[繭紙] ~ 견호미견호[見虎未見虎] 5394
5200 대은[大隱] ~ 대은은조시[大隱隱朝市] 5393
5199 자수추망[刺水抽芒] ~ 자승자박[自繩自縛] ~ 자신지[子愼之] 5391
5198 일하무혜경[日下無蹊徑] ~ 일한념아제포재[一寒念我綈袍在] ~ 일한수념여[一寒誰念汝] 5390
5197 진완[陳完] ~ 진왕철경거[陳王輟耕耟] ~ 진원룡[陳元龍] 5389
5196 가도[賈島] ~ 가도려과[賈島驢跨] 5388
5195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추래[一椎來] ~ 일출처천자[日出處天子] 5388
5194 번안[飜案] ~ 번영[繁纓] 5387
5193 의려[倚廬] ~ 의려지망[依閭之望] 5380
5192 일만팔천세[一萬八千歲] ~ 일망무제[一望無際] ~ 일명경인[一鳴驚人] 5380
5191 장진응참양졸구[張陣應慚養卒口] ~ 장진주[將進酒] ~ 장차공[張次公] 5377
5190 자황포[柘黃袍] ~ 자휴[恣睢] 537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