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 ~ 고삽[苦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49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 종자기(鍾子期)와 백아(伯牙)는 모두 춘추(春秋) 때 사람으로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탔으며, 종자기는 거문고 곡조를 잘 알았다. 백아가 거문고를 탈 적에 종자기는 이를 감상하였는데, 백아가 뜻을 태산(太山)에 두고 거문고를 타니 종자기는 “아, 훌륭하다. 거문고 소리여! 높고높아 태산과 같구나.” 하였다. 조금 후에 백아는 다시 뜻을 흐르는 물[流水]에 두고 거문고를 타니 종자기는 “아, 훌륭하다 거문고 소리여! 넓고넓어 흐르는 물과 같구나.” 하였다. 뒤에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이제는 세상에 다시 내 곡조를 알아줄 사람[知音]이 없다.” 하고는 거문고를 부수고 거문고 줄을 끊어 버렸다. 태산은 높은 산[高山]의 뜻이므로 ‘고산’이라 바꿨으며, 전(轉)하여 고묘(高妙)한 악곡(樂曲)을 ‘고산 유수곡’이라 하였다. <列子 湯問, 淮南子 修務訓>
♞고산처사[孤山處士]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숨어살았던 송(宋) 나라 임포(林逋)를 말한다. 장가도 들지 않고 자식도 없이 오직 매화와 학(鶴)을 기르며 살았으므로 당시에 매처학자(梅妻鶴子)라고 불렀던 고사가 전한다. <宋史 卷457·世說新語補 棲逸>
♞고삽[苦澁] 난삽(難澁)과 같음.
 
 



번호 제     목 조회
4937 중방제결[衆芳鶗鴂] ~ 중부[仲孚] ~ 중산[中散] 4978
4936 편방[偏旁] ~ 편사[偏師] 4976
4935 위문[尉文] ~ 위문후[魏文侯] 4975
4934 피차일반[彼此一般] ~ 필갈양단[必竭兩端] 4973
4933 개옥[改玉] ~ 개유불망[蓋帷不忘] 4973
4932 걸교[乞巧] ~ 걸교희주[乞巧喜蛛] 4973
4931 자유[子游] ~ 자유유섬계[子猷遊剡溪] ~ 자유섬계[子猷剡溪] 4972
4930 정승[定僧] ~ 정시지음[正始之音] 4967
4929 순거[鶉居] ~ 순경[順卿] 4964
4928 주각우금한호씨[注脚于今恨胡氏] ~ 주객전도[主客顚倒] 4963
4927 옥횡[玉橫] ~ 온거[轀車] ~ 온교취태[溫嶠醉態] 4963
4926 장두백전[杖頭百錢] ~ 장득아손유로분[長得兒孫有老盆] 496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