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고반[考槃] ~ 고병[高棅]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169  
♞고반[考槃] 세상에 나가지 않고 은거(隱居)한 현인을 말한다. 고반은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서(考槃序)에 “고반은 장공(莊公)이 선공(先公)의 업을 계승하지 못하여 현인으로 하여금 물러나 궁하게 살게 한 것을 풍자한 시이다.”라고 하였는데, 후세에서 은거하며 궁하게 산 것의 대칭으로 사용하였다.
♞고반[考槃] 현자가 세상을 피하여 은둔해 살면서 즐거움을 이루는 곳. 시경(詩經) 위풍(衛風) 고반(考槃)에 “고반이 시냇가에 있으니, 석인의 마음이 넉넉하도다.[考槃在澗 碩人之寬]”하였는데, 주에 “고(考)는 이루는 것이요, 반(槃)은 즐거움이다.” 하였다.
♞고반재간[考槃在澗] 어진 사람이 은거한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위풍 고반(考槃)에 “시냇물 골짜기에 안식처를 마련하고, 숨어사는 어진 선비 혼자서 즐겁네. 저 혼자 자고 깨고 혼자 말하여도, 즐거운 이 재미를 못 잊겠다 다짐하네.[考槃在澗 碩人之寬 獨寐寤言 永言弗諼]” 한 데서 온 말이다.
♞고방[孤芳] 고방은 뛰어나게 고결(高潔)한 인품을 비유한 말인데, 안연지(顔延之)의 제굴원문(祭屈原文)에는 “물은 견방을 꺼리고 사람은 명결함을 꺼린다[物忌堅芳 人諱明潔]”하였고, 이백(李白)의 시에는 “뭇 모래는 밝은 구슬을 더럽히고 뭇 풀들은 고고한 향초를 능멸하도다[群沙穢明珠 衆草凌孤芳]”하였다.
♞고백[古柏] 사헌부를 이른다. 옛날 어사대(御史臺)에 백수(柏樹)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고병[高棅] 명(明) 나라 학자. 호는 소대(嘯臺) 또는 만사(漫士). 박학(博學)하고 문장에 능했으면 특히 시에 뛰어났다. 저서에, 소대집(嘯臺集)·당시품휘(唐詩品彙) 등이 있다. 뒤에 이름을 정례(廷禮)로 고쳤다.
 
 



번호 제     목 조회
5249 순자강[鶉子江] ~ 순제갱가[舜帝賡歌] 5584
5248 장작[張鷟] ~ 장작청전[張鷟靑錢] ~ 장장[丈丈] 5584
5247 진과자미[秦瓜自美] ~ 진관[秦觀] ~ 진교편석[秦橋鞭石] 5584
5246 장원백[壯元柏] ~ 장원정[長源亭] ~ 장위위[張衛尉] 5582
5245 장주[掌珠] ~ 장주류생주[莊周柳生肘] ~ 장주지몽[莊周之夢] 5582
5244 가부[家父] ~ 가부결정[可否決定] 5579
5243 사문[斯文] ~ 사문유취[事文類聚] 5570
5242 장유입한광대양[長孺入漢光大梁] ~ 장유타여[長孺墮輿] ~ 장윤[張允] 5566
5241 장수양[張睢陽] ~ 장수유식[藏修游息] ~ 장숙야[張叔夜] 5565
5240 장창[張敞] ~ 장창무치[張蒼無齒] ~ 장채[章蔡] 5554
5239 희원야기잠[希元夜氣箴] ~ 희이[希夷] 5545
5238 자암[紫巖] ~ 자앙[子昂] ~ 자야가[子夜歌] 5545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