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고역사[高力士] ~ 고옥산[顧玉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426  
♞고역사[高力士] 당 현종(唐玄宗) 때 환관(宦官)이니 소잠(蕭岑) 등을 평정한 공으로 은총과 신임(信任)이 지극하였다. 이백(李白)이 청평사(淸平詞)를 지을 때에 고역사를 시켜 신을 벗기게 한 까닭으로 혐의를 품고 참소하여 마침내 이백을 파출(罷出)시키는 데 이르렀다.
♞고염무[顧炎武] 청 나라 초기의 고증학자. 호는 정림(亭林)이다.
♞고영중[高瑩中] 고려(高麗)의 문신으로 옥구 고씨(沃溝高氏)의 시조. 벼슬은 태복경(太僕卿)이었다. <高麗史>
♞고예[顧倪] 동진(東晉) 때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인물화에 뛰어났던 고개지(顧愷之)와 원(元) 나라 말기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던 예찬(倪瓚)을 합칭한 말이다.
♞고오[枯梧] 말라죽은 오동나무. 남이 의심할 만한 소지가 있으면 아무리 옳은 말 옳은 행동을 하여도 상대로부터 미쁨을 받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어느 집에 말라죽은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이웃에 사는 사람이 ‘집에 말라죽은 오동나무가 서 있으면 상서롭지 못하다’고 말하여, 그 말을 들은 주인이 그 나무를 베어버렸다. 그러자 그 이웃 사람이 와서 그 오동나무를 자기 집 땔감으로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주인은 좋지 않은 안색을 하며 말하기를 “기껏 자기 집 땔감을 구하기 위하여 나더러 이 나무를 베어버리라고 하였군.” 했다고 한다. <列子 說符>
♞고옥산[顧玉山] 이름은 덕휘(德輝) 또는 아영(阿瑛), 자는 중영(仲瑛), 옥산은 호. 성격이 호탕하여 손님들과 시주(詩酒)를 즐겼고, 벼슬을 시키려 하매 도피했다. 저서로 옥산박고(玉山璞稿)·초당명승집(草堂名勝集)등이 있다. <新元史 卷二百三十八, 明史 卷二百八十五>
 
 



번호 제     목 조회
4805 고민령[告緡令] 4822
4804 중상모략[中傷謀略] ~ 중상지기[仲翔知己] ~ 중서삼책[仲舒三策] 4822
4803 유사[流沙] ~ 유산[儒酸] ~ 유삽수신매편가[有鍤隨身埋便可] 4821
4802 중랑아대[中郞阿大] ~ 중랑지절[中郞持節] ~ 중랑초미금[中郞焦尾琴] 4821
4801 장묘식[場苗食] ~ 장문창[張文昌] 4820
4800 성호[星湖] ~ 성호사서[城狐社鼠] 4820
4799 패방[牌坊] ~ 패수송경[浿水松京] 4819
4798 원개벽[元凱癖] ~ 원객[園客] ~ 원거원처[爰居爰處] 4818
4797 희수[喜壽] ~ 희신보[喜神譜] 4816
4796 제량권애민[齊梁勸愛民] ~ 제량체[齊梁體] 4816
4795 종사[從事] ~ 종산[鍾山] 4816
4794 계루고[鷄婁鼓] ~ 계릉[桂陵] 4816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