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곡두[鵠頭] ~ 곡례[曲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91  
♞곡두[鵠頭] 본디 서체(書體)의 이름인데, 진(晉) 나라 때 왕문도(王文度)에게 이 곡두서체로 쓴 조판(詔板)을 내렸던 고사에서, 전하여 임금의 조서(詔書)를 가리킨다.
♞곡란암자[鵠卵菴子] 이자현(李資玄)이 살았던 초암(草菴)을 말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46 춘천 조(春川條)에 “고려 이자현이 문수사 골짜기 그윽한 곳에 식암을 짓고 살았는데, 둥그렇기가 고니 알 같고 겨우 두 무릎을 세울 만하였다.[作息菴 團圓如鵠卵]”고 하였으며, 그의 시도 함께 수록하여 소개하고 있다.
♞곡량적[穀梁赤] 춘추에 주(註)를 낸 사람인데, 그의 주해는 특히 춘추의 경문(經文)에 매우 충실했다고 한다.
♞곡려[谷蠡] 곡려는 흉노(匈奴) 번왕(藩王)의 봉호(封號)로 좌우로 나뉘어 있었다.
♞곡령[鵠嶺] 개성(開城)에 있는 송악산(松嶽山)의 이칭(異稱)이다.
♞곡령송청[鵠嶺松靑] 최치원이 신라가 망하고 고려가 흥할 것을 알고, 고려태조에게 “곡령에 솔이 푸르고 계림엔 잎이 누르다.[鵠嶺靑松鷄林黃葉]”란 글을 올렸다.
♞곡령청송[鵠嶺靑松] 신라 말기(末期)에 최치원(崔致遠)이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게 글을 보냈는데 “곡령의 푸른 솔이요, 계림의 누른 잎이라.” 하는 문구가 있었다. 이것은 “송도(松都)는 일어나고 경주(慶州)는 망하리라.”는 뜻이다.
♞곡례[曲禮] 예기(禮記)의 편명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709 승란[乘鸞] ~ 승로사랑[承露絲囊] 4735
4708 신풍[晨風] ~ 신혼[晨昏] 4734
4707 일모[日暮] ~ 일모지리[一毛之利] 4733
4706 정전[筳篿] ~ 정절동고소[靖節東臯嘯] 4731
4705 삼색도화[三色桃花] ~ 삼생석[三生石] 4729
4704 불가구약[不可救藥] ~ 불가승[不可勝] 4728
4703 회안[淮安] ~ 회양와십년[淮陽臥十年] 4724
4702 장낙[長樂] ~ 장니[障泥] 4723
4701 임하풍[林下風] ~ 임학보객[林鶴報客] ~ 임화정[林和靖] 4722
4700 피지부존모장안부[皮之不存毛將安傅] 4720
4699 원진[元鎭] ~ 원진단심[元鎭丹心] ~ 원차산[元次山] 4720
4698 가의류체이[賈誼流涕二] ~ 가의치안책[賈誼治安策] 4719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