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관이불천[盥而不薦] ~ 관자재[觀自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647  
♞관이불천[盥而不薦] 정성껏 공경함을 말한다. 주역(周易) 觀卦에 “손 닦고 천드리지 않음 같으면 믿음직하여 백성들이 우러러보리라.[觀盥而不薦有孚顒若]” 하였는데, 이는 제사에서 첫 술잔을 올려 강신(降神)한 뒤부터는 아무래도 정성이 처음만 같지 못하므로 한 말이다.
♞관이오[管夷吾] 춘추 시대 제 환공(齊桓公)의 재상이다. 그의 공로로 환공은 패후(覇侯)가 될 수 있었다. 자가 중(仲)이라서 흔히 관중(管仲)이라 부른다.
♞관인대도[寬仁大度] 마음이 너그럽고 인자하며 도량이 넓음을 이른다.
♞관잉십순[官剩十旬] 삼국 때 위(魏) 순상(荀爽)이 포의(布衣)로부터 일어나 95일에 삼공에 이르렀다.
♞관자[管子] 관자는 삼국 시대 때 위(魏) 나라 사람인 관녕(管寧)으로, 황건적(黃巾賊)의 난리 때 요동(遼東)으로 몸을 피하였는데, 학문이 뛰어나서 많은 사람들이 따랐으며, 문제(文帝)와 명제(明帝)가 벼슬을 내려 불렀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三國志 魏志 卷11>
♞관자[管子] 관중의 저서로 되어 있으나, 그 내용으로 보아 관중의 업적을 중심으로 하여 후대의 사람들이 썼고, 전국시대에서 한대(漢代)에 걸쳐서 성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전한(前漢)의 학자 유향(劉向)의 머리말에는 86편이라고 되어 있는데, 현재 보존되어 있는 것에는 10편과 1도(圖)가 빠져 있다. 내용은 법가적(法家的) 색채가 농후하고, 때로는 도가적(道家的)인 요소가 섞여 있기 때문에 漢書(한서)에서는 도가(道家)에, 隋書(수서)에서는 법가(法家)에 넣고 있다. 정치의 요체(要諦)는 백성을 부유하게 하고, 백성을 가르치며, 신명(神明)을 공경하도록 하는 세 가지 일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일이 으뜸이라고 하였다.
♞관자[管子] 중국 춘추 시대 제(齊) 나라 재상 관중(管仲)이 지은 책. 부민(富民)·입법(立法)·포교(布敎)를 서술하고 패도정치(覇道政治)를 역설(力說)함. 처음에는 86편으로 되었으나 원(元) 나라 이후에 76편으로 되었다.
♞관자재[觀自在]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이명(異名)으로, 모든 사리(事理)에 아무런 장애가 없이 환히 달관(達觀)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5345 역책[易簀] 1329
5344 가액지망[加額之望]~가야[伽倻]~가야[伽倻]~가야다투참[佳冶多妬讒]~가양[嘉釀] 4545
534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2453
5342 가씨삼호[賈氏三虎]~가씨소[賈氏疏]~가아[駕鵝]~가아[可兒] 2483
5341 가신강음[佳辰强飮]~가신위모[假神爲謀]~가실[嘉實]~가씨규렴한연소[賈氏窺簾韓掾少] 2385
5340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2321
5339 가승[家乘]~가승미[加升米]~가시불급국[家施不及國]~가시아[歌詩雅] 2399
5338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2794
5337 가수편[嘉樹篇]~가숙[家塾]~가숙당서[家塾黨序] 2627
5336 가수부각궁[嘉樹賦角弓]~가수부시[假手賦詩]~가수전[嘉樹傳] 2351
5335 가쇄[枷鎖]~가수[嘉樹]~가수[佳手]~가수[假守]~가수[家數] 2693
5334 가소[賈疏]~가소년[賈少年]~가속[賈餗]~가손[賈遜] 2990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