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광릉[光陵] ~ 광릉산[廣陵散]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322  
♞광릉[光陵] 세조(世祖)의 능으로 남양주군(南楊州郡) 진접면(榛接面) 부평리(富坪里)에 있다.
♞광릉[廣陵] 한성(漢城)의 옛 이름이다.
♞광릉[光陵] 조선 세조(世祖)를 가리킨다. 세조는 불교를 신봉하여 1466년 유점사(楡岾寺)에 거둥하여 중 학열(學悅)에게 명해서 개수(改修)함으로써 유점사가 거찰(巨刹)이 되었다.
♞광릉[廣陵] 지금의 양주(揚州).
♞광릉관도[廣陵觀濤] 문선(文選) 권34 칠발(七發)에 “팔월 보름날 여러 공후(公侯)및 먼 지역에서 사귄 형제들과 함께 광릉의 곡강(曲江)으로 물결치는 것을 구경하러 갔다.” 하였다.
♞광릉금[廣陵琴] 거문고 가락 이름. 광릉산(廣陵散). 진(晉)의 혜강(嵇康)이 낙서(洛西)에서 놀 때 화양정(華陽亭)에서 자면서 거문고를 퉁기다가 뜻밖에 나타난 어느 객으로부터 전수받은 곡이 바로 광릉산인데, 뒤에 혜강이 종회(鍾會)의 참소로 인하여 사마소(司馬昭)에게 끌려 동시(東市)의 형장으로 갔을 때 태학생(太學生) 3천 명이 나서서 그를 스승으로 모시겠다고 청했으나 사마소는 그를 불허했다. 이에 혜강은 형장(刑場)에서 그 곡을 마지막으로 타면서 “광릉산이 이제 세상에 없게 되었구나[廣陵散 於今絶矣].” 하였다 한다. <晉書 嵇康傳>
♞광릉산[廣陵散] 거문고 곡조의 이름. 삼국시대 위(魏) 나라 혜강(嵇康)이 즐겨 연주하던 금곡(琴曲) 이름으로, 참소를 받고 사형을 당할 때, 형장(刑場)에서 마지막으로 그 곡을 탄주하고 곡이 끝난 뒤에 탄식하기를 “원효니(袁孝尼)가 일찍이 나에게 광릉산을 배우겠다 하였으나 나는 그때마다 거절하였는데, 광릉산이 이제 맥이 끊기는구나[廣陵散 於今絶矣].” 하였다. <三國志 卷二十一 王粲傳 註>
 
 



번호 제     목 조회
4697 대기대용[大機大用] ~ 대나천[大羅天] ~ 대년춘[大年椿] 4718
4696 십이도[十二徒] ~ 십이문도[十二門徒] 4717
4695 삼천약수[三千弱水] ~ 삼천지교[三遷之敎] 4716
4694 자웅[雌雄] ~ 자웅미변[雌雄未辨] 4715
4693 종유[鍾繇] ~ 종자[鍾子] 4714
4692 태백가행[太白歌行] ~ 태백죽계[太白竹溪] 4714
4691 감주[紺珠] ~ 감진[鑒秦] 4714
4690 계녀[季女] ~ 계도[計都] 4711
4689 강남조[江南調] ~ 강능[岡陵] 4710
4688 증사[蒸砂] ~ 증삼덕[曾參德] ~ 증삼투저[曾參投杼] 4710
4687 가호[呵護] ~ 가호주고복[賈胡珠刳腹] 4706
4686 오악사독[五嶽四瀆] ~ 오악유[五岳遊] ~ 오안[五眼] 4706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