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구구사기직[瞿瞿思其職] ~ 구기[九畿]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817  
♞구구사기직[瞿瞿思其職] 시경(詩經) 당풍(唐風) 실솔(蟋蟀)에 “職思其居 好樂無荒 良士瞿瞿”라 하였다.
♞구구절저[驅九折阺] 국사(國事)를 위하여 멀고 험한 지방의 수령을 지냈다는 뜻이다. 한(漢) 나라 때 왕양(王陽)이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공래현(邛崍縣)의 구절판(九折坂)을 순시하다가 부모가 끼쳐준 몸으로 이처럼 험난한 곳을 함부로 다니겠느냐면서 되돌아갔는데, 뒤에 왕준(王尊)이 자사가 되어서는 이곳에 당도하여 “왕양은 효자가 되었으니 나는 충신이 되겠다.” 하고는 마부를 호령하여 말을 몰아 이곳을 통과하였다 한다.
♞구구평약수[九衢平若水] 포조(鮑照)의 악부시(樂府詩)에 “잔잔한 물처럼 잘 닦인 장안 거리, 높은 궁궐 마치도 구름 속에 떠 있는 듯.[九衢平若水 雙闕似雲浮]”이라는 표현이 있다. <文選 卷28 結客少年場行>
♞구국간성[救國干城] 나라를 구원(救援)하는 방패(防牌)와 성(城)이란 뜻으로, 나라를 구하여 지키는 믿음직한 군인이나 인물을 비유한다.
♞구규[九竅] 사람의 몸에 있는 눈·코·입·귀·요도·항문의 아홉 구멍.
♞구금[鉤金] 구금은 혁대 끝에 달린 갈고리인데, 일반적인 현상을 무시하고 특별한 경우를 들어 우기는 것을 말한다. 맹자(孟子) 고자 하(告子下)에, 예(禮)가 식색(食色)보다 본래 중하지만 식색이 예보다 중한 경우로 한 갈고리의 쇠와 한 수레의 깃털의 무게를 비교하는 비유를 들면서 특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잘못된 주장을 펼치는 것을 반박하였다.
♞구급문[九級門] 관로(官路)를 뜻한다. 구급은 제1품(品)에서 9품에 이르는 관리의 등급을 말한다.
♞구기[九畿] 주대(周代)에 왕기(王畿)를 사방 천 리(四方千里)로 하고, 그 주위를 전후좌우로 각각 5백 리마다 일기(一畿)로 구획하여, 후복(侯服)·전복(甸服)·남복(男服)·채복(采服)·위복(衛服)·만복(蠻服)·이복(夷服)·진복(鎭服)·번복(藩服)으로 한 것을 말한다. <周禮 職方氏>
 
 



번호 제     목 조회
4997 회자[膾炙] ~ 회적오시[晦迹吳市] 5085
4996 가리[假吏] ~ 가림[嘉林] ~ 가매[假寐] 5078
4995 풍우갱슬본비광[風雩鏗瑟本非狂] ~ 풍우불이[風雨不已] 5078
4994 개구소[開口笑] ~ 개두환면[改頭換面] 5078
4993 백패[白牌] ~ 백포[白袍] 5076
4992 일지족[一枝足] ~ 일지춘[一枝春] ~ 일진일퇴[一進一退] 5076
4991 주현[朱弦] ~ 주현백설[朱絃白雪] ~ 주현위군절[朱絃爲君絶] 5076
4990 내열[內熱] ~ 내외거[內外擧] ~ 내외전[內外典] 5075
4989 당고[黨錮] ~ 당구삼년폐풍월[堂狗三年吠風月] ~ 당귀[當歸] 5075
4988 손목[孫穆] ~ 손생폐호[孫生閉戶] 5073
4987 요황[要荒] ~ 요황위자[姚黃魏紫] 5072
4986 정주[程朱] ~ 정중훤[靜中喧] 507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